앤 크루거 국제통화기금(IMF) 수석 부총재는3일 한국은 세계 경제의 침체에 대처하기 위해 기업과 금융 부문의 지속적인 구조조정과 함께 재정 적자 확대 등 적극적인 거시경제 정책을 펴야 한다고 말했다. 크루거 부총재는 한국의 외환 위기 4주년에 즈음해 연합뉴스와 가진 인터뷰에서"한국이 비록 주변국들보다 세계적 경기 하강을 잘 견뎌내고 있으나 활발한 성장을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하고 신흥 국가들을 위협하고 있는 불황의 파고를피해 가려면 재정과 통화 등 강력한 거시경제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한국은 다행히 물가가 안정돼 있어 통화 정책의 걸림돌이 없고 국가 채무도 감당할 만한 수준"이라고 말하고 "2002년에는 감속 성장에 따른 세수의 자동 감소분 이상으로 재정 적자를 확대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견해를 제시했다. 그는 "최근 IMF 연차 협의단이 한국을 방문, 재정과 금리 정책의 완화를 촉구한것도 이러한 맥락"이라며 "한국의 지도자들은 구조 개혁이 선택이 아니라 생존의 문제임을 강조해 왔으므로 신축적인 거시경제정책이 구조조정을 지연시킬 것이라는 주장에 동의할 수 없다"고 못박았다. 그는 "최근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가 유독 한국에 대해 신용 등급을 상향조정한 것이나 지난 두 달동안 외국인 투자 자금이 한국 증시로 몰린 것은 한국의 앞날에 대한 국제 금융시장의 확신을 반영하는 것"이라며 아르헨티나 등 일부 신흥 시장의 위기 조짐이 한국에 타격을 줄 가능성을 일축했다. 크루거 부총재는 이어 "지난 4년동안 한국이 이룩한 경제적 성과는 인상적이며함께 위기를 겪은 다른 국가들을 앞질렀다"고 평가하고 "그러나 아직도 상당한 개혁과제가 남아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의 추후 개혁 과제로 기업과 금융 부문의 지속적인 구조조정, 시장 규율의 정착을 제시하고 한국의 놀라운 성과를 거둔 데에는 무엇보다도 엄청난 고통을인내한 국민과 난관을 정면 돌파한 지도자들의 공이 가장 크다고 분석했다. 한국은 지난 1997년 12월3일 외환보유고가 바닥나 국가 부도 위기에 처하자 당시 임창열 경제부총리(현 경기도지사)와 미셸 캉드쉬 IMF 총재가 대기성 차관 협약을 위한 양해각서에 체결함으로써 IMF 체제에 돌입했으나 당초 예정을 3년여 앞당긴지난 8월 차관을 모두 상환하고 조기에 졸업했다. (워싱턴=연합뉴스) 이도선 특파원 yd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