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진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한 `이상상황'이 원전의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놓고 정부와 시민단체가 각각 "안전하다", "정밀 점검을 실시해야 한다"는 등 상반된 주장을 하고 있어 주목된다. 문제의 발단은 지난달 29일 울진 3호기 원자로의 냉각재에서 검출되는 방사성 물질 요오드(I)-131의 등가선량이 정상 운전때의 평균값인 0.0003마이크로큐리(μCi/g)보다 1천배가량 높은 0.33μCi/g까지 올라간 현상. 이후 I-131 수치는 지난달 31일 0.26μCi/g로 떨어졌으며 지난 4일에 0.11μCi/g, 19일 0.024μCi/g를 각각 기록하며 점점 떨어져 왔다. 원자력 냉각재 방사능 관련 기술지침서에 따르면 I-131 수치가 연속 48시간 이상 1μCi/g를 초과하거나 60μCi/g를 초과했을 때 발전을 정지하고 점검에 들어가야하기 때문에 수치상으로는 안전한 상태다. 원전 운영을 맡은 한국수력원자력㈜이나 주무부처인 과학기술부도 "이같은 현상이 나타나자 매시간 점검을 실시하는 등 비상체제에 들어갔었고 I-131 수치가 지속적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안전에는 전혀 문제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한국반핵운동연합 등 시민단체는 25일 "이번처럼 I-131 수치가 급격하게증가하는 현상이 영광 2호기에서 지난 97년 6월과 11월에 각각 한차례씩 발생했으며결국 98년 계획예방정비를 실시하고서야 핵연료봉이 파손된 것을 발견한 사례가 있었다"며 즉각적인 정밀조사를 요구했다. 녹색연합 관계자는 "I-131 수치가 급격하게 증가하면 일단 핵연료봉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부터 점검해야 한다"며 "정부는 하루빨리 정밀 점검을 실시해 국민의 불안감을 해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관계자는 또 "지난 98년 울진 3호기에서 증기발생기 부품이 파손되는 사고가발생했을 때 생긴 파편들이 여전히 원자로 안에서 돌아다니고 있다"며 "이 부분에대해서도 철저한 정밀 점검이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반면 한국수력원자력 관계자는 "울진 3호기 원자로 안의 미세파편들은 지난 7월 정기검사 기간에 모두 제거했다"며 "냉각수로 유입되는 바닷물과 함께 아주 작은이물질이 들어오는 경우가 있지만 안전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세진기자 smil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