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장금상선 총수일가, 국외 계열사 통해 국내 핵심회사 지배
공정위 "편법적 지배력 확대 면밀히 모니터링"
국내 대기업집단 가운데 총수(동일인)가 있는 기업집단의 내부 지분율이 올해 처음 60%를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수 본인과 친족의 지분율이 감소했지만, 계열사 지분율이 높아진 결과다.
공정거래위원회가 3일 발표한 '2023년 공시대상기업집단(자산 5조원 이상 대기업집단) 주식 소유현황' 자료에 따르면, 공시대상기업집단의 내부 지분율은 61.7%로 지난해보다 1.3%포인트 올랐다.
총수가 있는 72개 기업집단의 내부 지분율은 61.2%로 1.3%포인트 올라 올해 처음 60%를 넘어섰다.
내부 지분율은 계열사의 총 발행주식 가운데 총수(동일인)와 그 친족, 계열사, 비영리법인, 임원 등이 보유한 주식(자사주 포함)의 비율을 가리킨다.
내부 지분율이 높으면 경영권 방어 등에 유리하다.
홍형주 공정위 기업집단관리과장은 "책임 경영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기업집단 내부인들, 즉 총수 일가나 임원, 계열회사가 다른 계열회사의 지분을 많이 갖는 것이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세부 구성을 보면 총수 일가 지분율은 3.6%로 0.1%포인트 줄고, 계열사 지분율이 54.7%로 1.4%포인트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총수 본인이 보유한 지분은 1.7%에 그쳤다.
총수 일가가 적은 지분으로 계열사 출자 등을 활용해 기업집단 전체를 지배하는 구조가 심화했다는 의미다.
총수 일가 지분율이 특히 낮은 기업집단은 두나무(0.21%), HD현대(0.47%), 카카오(0.51%), SK(0.51%), 장금상선(0.63%) 등이었다.
아울러 롯데와 장금상선 등 일부 기업집단의 총수 일가는 국외 계열사를 통해 기업집단 최상단 회사 등 국내 핵심 계열
국내 물가가 고공 행진하는 국제 유가와 원·달러 환율로 인해 들썩이고 있다. 정부가 예상하는 ‘연말 2%대’ 물가가 물 건너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3일 한국석유공사 오피넷에 따르면 전날 기준 전국 주유소의 휘발유 평균 가격은 L당 1796.17원으로 집계됐다. 한 달 전(1747.7원)보다 48.47원 오른 것으로, 작년 8월 13일(1797.86원) 후 1년2개월여 만의 최고 수준이다. 휘발유의 주당 평균 가격은 지난 7월 첫째주부터 지난달 넷째주까지 12주 연속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국제 유가는 통상 2주가량 시차를 두고 국내 가격에 반영되기 때문에 당분간 휘발유 가격 상승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문제는 이런 유가 오름세가 물가에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는 점이다.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 대비 3.4% 상승했다. 6~7월 2%대를 기록했다가 3개월 만에 반등했다. 8월 생산자물가지수도 전월 대비 0.9% 올라 지난해 4월(1.6%) 후 1년4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폭을 나타냈다. 특히 국제 유가 상승 여파로 석탄·석유제품(11.3%), 화학제품(1.4%) 등이 오르면서 공산품 가격이 1.1% 상승했다.
이른바 ‘킹달러’(미국 달러 가치의 글로벌 강세 현상)가 물가를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원·달러 환율의 지속적인 상승이 수입 물가를 밀어 올리면서 고물가가 이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다. 지난달 27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장중 1356원까지 오르며 연고점을 경신했다.
정부는 CPI 상승률이 지난달까지 3%대를 기록하다가 10~12월 2%대로 복귀할 것으로 예측했다. 그러나 고유가·고환율이 지속되면 다시 3%대로 치솟을 가능성이 거론된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연말까지 물가 하락 요인이 잘 보이지
한국경제신문사는 3일 ‘제42회 다산경제학상’ 수상자로 김선빈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55)를 선정했다. 만 45세 이하 경제학자를 대상으로 한 ‘제12회 다산 젊은 경제학자상’ 수상자로는 한유진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42)를 뽑았다.
다산경제학상 심사위원회(위원장 정갑영 연세대 명예교수)는 김 교수가 이질적인 경제 주체로 구성되는 거시경제 일반균형모형을 개발해 노동과 임금, 조세 정책 등의 정책 개발에 크게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한 교수는 교육·보건·개발경제학 분야에 기여한 점을 인정받았다. 학교의 자율성이 고등학생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한국의 자료를 바탕으로 실증 분석한 연구가 높은 평가를 받았다.
다산경제학상 수상자에게 상금 3000만원, 다산 젊은 경제학자상 수상자에게는 상금 1000만원 등을 수여한다. 시상식은 오는 12일 오전 9시 서울 청파로 한경 18층 다산홀에서 열린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