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영 < 산자부 차관보 > 정부는 21세기 경제발전에서 서비스산업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각계 의견 수렴을 통해 지난 9월 '서비스산업 활성화 대책'을 마련했다. 세계 경제가 서비스화되고 제조업이 소프트화되면서 정보화(IT화)및 세계화가 진전되고, 기업의 구조조정 필요성이 증대하면서 아웃소싱에 대한 관심과 수요는 점차 확대되고 있다. 한때 "마누라와 자식 빼고는 다 아웃소싱하라"라는 말이 유행했었지만, 인사 총무 전산분야에서 시작한 아웃소싱이 생산에까지 이르는 등 이제 아웃소싱이라는 단어는 온 기업인이 친근하게 인식하고 앞으로 한국이 선진경제로 진입하기 위한 관건이 되고 있다. 사실 비용절감을 위해서건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건 기업에 투입되는 서비스라 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 아웃소싱 산업은 2000년 현재 1백18만명(5.6%)의 고용과 32조원(6.3%)의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성장산업으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올해 8월 산자부가 실시한 '아웃소싱 관련 기업규제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아웃소싱을 하려는 기업이나 아웃소싱 서비스를 공급하는 기업이나 아직 그 성숙단계가 미흡하여 정부와 민간 모두의 절대적 관심과 지원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아웃소싱 활용기업들은 핵심역량에 집중하고 나머지는 아웃소싱을 하고 싶어도 시장에서 마땅한 공급자를 찾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아웃소싱 공급업체들도 아직 초기단계라 대부분 영세기업이며, 정부쪽에서도 아웃소싱 산업 육성을 위한 지원책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이러한 현실인식을 바탕으로 8월까지 인력파견분야 업종 및 기간제한 등 아웃소싱의 활성화를 저해하는 각종 규제 및 법.제도 리스트를 만들었으며, 9월부터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정비해 나갈 계획이다. 최근 세계 경제의 침체에 따라 우리 경제도 어렵다. 산자부는 이러한 상황에서 새로운 돌파구를 찾기 위해 고용 및 부가가치 창출, 수출및 외국인 투자에 압도적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서비스분야를 재조명하여 '서비스산업 활성화 대책'을 수립한 것이다. 서두에서와 같이 아웃소싱 산업은 서비스중에서 생산물의 고부가가치화 및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더욱 중요성이 부각되어 동 대책의 중점과제로 제시되어 있다. 따라서 정부는 아웃소싱 산업을 적극 육성하기 위해 우선은 아웃소싱기업협회와 공동으로 9월에 아웃소싱산업의 실태조사를 거쳐 금년중 아웃소싱 디렉토리(기업체 DB)를 구축할 계획이다. 아울러 아웃소싱 수요업체들이 계량적이고 확실한 효과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국적 성공사례를 발굴.홍보하고 아웃소싱 과정에서 나타나는 애로사항을 유형별로 정리해 대응책을 제시하는 아웃소싱 활용가이드라인도 작성.제공할 계획이다. 또한 서비스 수준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서비스수준평가표(Service Level Agreement)를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표준계약서도 개발.보급할 계획이다. 다음에 경영컨설팅, 마케팅, 인사, 총무 등 분야에 '산업기반기금' 융자규모를 확대하여 기업들의 IT 투자확대에 따른 자금지원을 원활하게 해줄 계획이며, 현행 민간자격증인 '아웃소싱 관리사'를 국가 자격증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이제 아웃소싱은 트랜드에서 하나의 산업으로 도약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아웃소싱의 활성화가 제조업 경쟁력 강화에 필수적이고 노동시장의 안정화와 유연성에도 기여하며, 중소.벤쳐기업의 경영환경개선에도 필요하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민.관.학이 아웃소싱 산업의 발전을 위해 힘을 모아야 할 시점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