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 심리에 제동이 걸리면서 내수에도 빨간 불이 커졌다. 수출이 지난 3월 감소세로 돌아선 뒤 부진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데다 설비투자도 지난해 11월 이후 8개월째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여기에 소비 마저 흔들리는 것이 아니냐는 불안감이 팽배해지고 있다. 내수 증진을 통한 경기 부양을 추진하겠다고 공언해온 정부로서도 향후 경제 운용에 부담이 늘어나게 됐다. ◆ 소비심리, 7개월만에 하락 반전 = 올들어 6월까지 견고한 오름세를 보이면서 지난해 8월 102.2를 기록한 이래 처음으로 100을 넘어서기도 했던 소비자기대지수는 한달만에 98.4로 악화됐다. 이를 구성하는 경기, 가계생활, 내구소비재구매, 외식·오락·문화 등이 모두 하락하고 다만 소비지출에 대한 기대만이 전달보다 늘어나 5개월째 100을 넘어서고 있다. 두달 내리 100을 넘은 경기에 대한 기대도 7월 97.2로 뚝 떨어졌다. 모든 소득계층과 연령계층에서 소비기대심리 또한 전달보다 하락한 것도 심상치 않다. 고소득층에서도 향후 소비를 늘리겠다는 가구가 전달보다 줄어듦으로써 소비 진작에는 한계가 있을 것임을 드러내 보이고 있는 셈. 이에 따라 수출 부진 속에 경기를 떠받치고 있던 내수 마저 한계에 부닥칠 것을 예고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소비자평가지수도 7개월만에 하락세로 돌아서면서 88.2를 기록했다. ◆ 경기회복 지연 가능성 = 수출과 투지 부진 속에 경기를 지탱하던 소비가 흔들리고 있다는 점에서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희석되고 있다. 앞서 기업의 체감경기를 나타내는 전경련 경기실사지수(BSI)도 이달엔 90.2로 6개월만에 기준치(100)를 밑돌았다. 7월 수출입 확정치도 잠정치보다 악화돼 수출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20.5% 감소한 114억9,000만달러를 잠정치보다 8,000만달러가 줄었다. 무역수지는 4억300만달러로 잠정치보다 5600만 달러 적은 규모로 집계됐다. 이달 15일까지 수출 감소폭도 20%에 달한다. 7월 실업률도 전달보다 0.1% 높아져 5개월만에 상승세로 돌아서고 고용의 질이 악화됐다.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정부는 이에 따라 최근 재정지출 10조원 확대, 콜금리 인하 등의 처방을 내놨지만 집행시기나 효과가 미덥지 못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날 국책연구원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은 경기회복 지연 가능성을 지적했다. 수출부진에 따라 지난 6월 반도체 생산이 크게 감소했고 산업생산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7% 감소했으며 종합경기실사지수(BSI)도 지난달 이후 하락세를 보이는 등 경기회복이 지연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와 함께 경기의 불확실성이 증가하면서 주가 하락과 환율 등락폭이 확대되고 있으며 실업률 하락세 둔화와 취업자 수 감소, 임금상승률 둔화, 초과 근로시간 감소 등 노동시장의 변화도 모두 경기부진이 반영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당장 경기 추락이 눈앞에 펼쳐지고 있느나 추경예산은 국회 통화가 지연되는 등 재정지출 확대를 위한 준비작업이 더딘데다 금리 인하 등이 효과를 내는 것은 내년 1/4분기에나 가능할 것으로 보여 경기회복은 발걸음을 뒤로 빼고 있다. 소비 마저 경기회복에서 돌아설 채비를 갖추고 있어 정부에서 카드로 내세울 수 있는 정책적 대안은 입지가 좁아지고 있다. 재정적자를 감수하는 적극적인 부양이 마지막 카드로 남은 셈이다. 한경닷컴 이준수기자 jslyd01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