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말 1백2개 부실징후 기업 가운데 25개를 정리키로 한 데 이어 7월에도 4백55개중 49개에 대한 정리방침이 확정됐다. 외견상 채권은행단 주도의 '상시구조조정'이 가속도를 내는 형국이다. 그러나 내막을 들여다보면 그렇지만도 않다. 당초 채권단이 정리한 부실기업이 모두 1천5백44개였던 점을 감안하면 아직도 1천개 가량의 '비정상 기업'이 처리방향을 잡지 못하고 있다. 이들 기업에 대해서도 늦어도 9월말까지 정리방침을 정하도록 하겠다는 금융감독원의 방침이지만 채권단의 이해가 얽혀 처리는 쉽지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달말쯤 가닥이 잡힐 35개 워크아웃 기업에 대한 처리방침도 주목된다. ◇어떤 기업 정리되나=정리대상 기업은 '제조업과 건설업종의 중소형' 업체가 다수다. 또 화의나 법정관리중인 곳이 32개나 된다. 앞서 수차례 정부당국자들이 "도덕적해이를 불러일으키고 시장질서를 교란하는 법정관리·화의 기업을 조기 정리하겠다"고 공언한 것과 궤를 같이한다. 동아건설 조양상선 등 이미 방침이 확정된 것이 10개고 나머지 대부분은 업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은 업체들이다. ◇정리대상,제대로 관리되나=과연 이들 기업의 뒷정리가 제대로 되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도 강하게 제기된다. 지난해 11·3 부실기업 퇴출조치때 정리판정을 받은 52개 기업 가운데 정리된 곳은 60%를 밑돌고 있다. 6월말까지 정리키로 확정된 25개 가운데서도 어떤 기업이 퇴출·매각·합병됐는지에 대한 결과가 공개된 것이 없다. 이번 39개 기업에 대해서도 채권단이 과연 부실기업을 털어내 시장의 불안요인을 적극 제거하고 있는지 금감원이 제대로 사후평가를 해야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 허원순 기자 huh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