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대덕밸리 벤처연합회가 회원사를 대상으로 벤처기업 아웃소싱활용실태를 조사한 결과 아웃소싱이 필요한 분야로 제조 생산분야가 거론됐다. 벤처기업의 경우 기술개발을 하더라도 생산설비를 갖추고 자체생산을 하기에는 여러가지 어려움이 따른다는 것이 그 이유다. 더욱이 주 5일 근무제가 정착되면 생산에서 외부 의존도는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실지로 생산관리를 아웃소싱하면 30-40%의 비용을 절감하게 된다고 한다. 생산부문 아웃소싱은 연구개발형이 가장 일반적인 형태다. 벤처가 연구개발로 특화한 다음 생산은 외부에 아웃소싱하는 형태다. 제조 설비에 투자할 자금을 핵심역량인 연구개발로 돌려 경쟁력을 구축하자는게 그 목적이다. 제이텔은 국내 굴지의 개인휴대통신 기업이지만 휴대통신기를 생산할 수 있는 공장을 갖고 있지 않다. 생산은 모두 벤처기업인 미래통신과 지엠이 담당하고 있다. 전략적 제휴형도 있다. 벤처기업과 생산전문 공장이 전략적 제휴를 맺고 독자적인 연구개발에만 집중한다는 것이다. 싸이버뱅크는 삼성전자 수원공장에 개인휴대통신 기기의 생산을 맡기고 있다. 이밖에 마케팅과 상품기획을 핵심역량으로 해 연구개발부문이나 생산부문은 갖지 않고 아웃소싱하는 형태도 최근 눈에 띄고 있다. 의류업체에선 특히 이같은 경향이 강해 이랜드가 1백% 생산 아웃소싱을 통해 성공을 거두자 에스에스패션 LG패션 등 대기업들도 도입하고 있으며 청바지업체로 급성장한 잠뱅이 등이 성공했다. 이와 관련, 한국 가전업계의 양대 거인인 LG전자와 삼성전자가 서로 생산 아웃소싱에 나선 사례는 크게 주목된다. LG전자는 삼성전자와의 OEM 계약에 따라 삼성으로부터 디지털 캠코더 5백대를 넘겨받아 LG 브랜드를 붙여 전국 대리점을 통해 판매했다. 삼성도 LG전자가 생산한 가스 오븐렌지와 식기세척기에 자사의 주방가전 브랜드를 부착해 출시했다. 오춘호 기자 ohc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