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신양회의 회사채 신속인수제 졸업은 그동안 '부실기업의 생명연장줄'이라는 비판을 받던 이 제도의 효용성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단기유동성이 있는 기업의 회사채 상환부담을 덜어줘 경영정상화를 지원한다'는 당초 목적을 달성한 첫 사례가 되기 때문이다. 산업은행 관계자도 "신속인수제를 통해 기업이 자금흐름에 대한 부담을 덜고 경영정상화에 박차를 가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현재 회사채 신속인수대상은 성신양회를 포함해 하이닉스 현대건설 현대상선 현대유화 쌍용양회 등 6개 업체이다. 정부는 이들 기업의 만기회사채 차환발행을 돕기 위해 만기물량의 80%는 산은 등 채권단이 인수하고 나머지 20%는 발행기업이 가져가는 신속인수제도를 올해부터 시행했다. 채권단은 이에따라 8월분을 포함해 현재까지 만기가 된 이들 기업의 채권중 80%인 2조8천8억원을 인수했다. 하지만 성신양회를 제외한 하이닉스반도체 등 다른 적용대상 기업들의 상황을 보면 아직 이 제도의 완전성공을 장담하기는 힘들다. 채권단은 이들 기업에 출자전환(채권을 자본금으로 전환)하거나 대출금 만기연장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지만 정상화의 기미가 뚜렸히 보이지 않고 있다. 회사채 신속인수제는 단기 유동성을 지원하는 채권단의 측면 지원일 뿐이고 근본적인 해결책은 회사의 수익경영에 달려 있다는 사실을 보여 주는 것이다. 이 때문에 금융계 일각에선 회사채 신속인수제만으로 이들 기업의 문제를 풀긴 어렵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김준현 기자 kim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