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거래소는 한전에서 분리된 6개 발전회사가 생산한 전기를 사고 파는 시장으로 지난 4월2일 문을 열었다. 기업의 주식을 사고 파는 주식시장과 마찬가지로 수요자와 공급자가 만나 전력을 매매하는 장터라고 보면 된다. 수요·공급자가 불특정 다수인 주식시장과 달리 전력거래소에선 수요자는 한국전력, 공급자는 6개 발전 자회사 등으로 제한된다. 전력 거래는 6개 발전 자회사에서 공급이 가능한 전력용량을 실제 거래가 이뤄지기 전날 거래소에서 입찰하는 것으로 출발한다. 한전은 이후 시간대별로 전력수요량을 감안, 가격이 가장 싼 전기부터 매입하기 시작해 필요량까지만 사들이게 된다. 즉 수요량을 초과하면 가격경쟁력이 없다는 의미다. 이에 따라 다른 발전회사에 비해 발전 단가가 높은 전력을 생산하는 회사는 제품(전기)을 판매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생산조차 못하게 된다. 물론 각 발전회사는 발전기별로 생산단가가 차이가 나고 지금은 수요를 초과하는 공급량이 많지 않아 발전소 가동중단 사태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많은 전기를 생산해 보다 많이 판매하는 회사일수록 수익성이 높아진다는 점에서 상대적으로 발전단가가 높은 회사는 장기적으로 경영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각 발전회사가 기를 쓰고 원가를 낮추려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전력 거래가격은 마지막 수요량을 채우는 전기값으로 결정된다. 값싼 전기를 생산하면 그만큼 더 이익이 되는 구조다. 다만 원자력 유연탄(석탄) 중유 액화천연가스(LNG) 등 발전연료에 따라 원가에서 차이가 나기 때문에 원자력과 석탄화력, 국내탄 발전은 기저발전 분야로서 중유 LNG발전 등 일반 발전설비와 별도로 가격이 책정된다. 한전은 전력거래소에서 구입한 전력을 자체 송전 및 배전망을 활용해 각 가정과 상가 산업체 등에 공급하게 된다. 다만 아직은 전력공급만 경쟁을 통해 이뤄질뿐 송전과 판매는 여전히 독점체계로 운영돼 발전단가가 부분적으로 하락하더라도 소비자 전기값 인하로 이어지기까지는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앞으로 한전의 배전·판매부문까지 경쟁체제가 도입되면 전기 가격과 품질에 따라 소비자 스스로 전력회사를 선택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백영기 전력거래소 이사장은 "국민들이 필요로 하는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모두가 만족하는 투명하고 공정한 전력거래시장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수언 기자 soo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