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헤지펀드들은 조세피난처를 활동무대로 삼고 있다.

특히 미국계 헤지펀드들의 경우 거의 모두 카리브해 연안지역에 본부를 두고 있다.

본래 헤지펀드는 1949년 미국인 알프레드 존슨에 의해 처음 만들어졌다.

그 후 한동안 활동이 거의 없었으나 90년대 들어 조세피난처가 활성화되고 정보통신 발달과 각국의 자본자유화 일정이 상승효과를 일으키면서 헤지펀드들의 움직임이 크게 활발해졌다.

실제 조세피난처의 속한 국가들의 세수와 헤지펀드들의 활동은 높은 상관관계를 맺고 있다.

영국의 유력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지에 따르면 조세피난처 국가들이 가장 많은 세수를 올렸던 지난 98년 헤지펀드도 펀드수 4천여개, 투자원금 규모 4천억달러에 이를 만큼 전성기를 누렸다.

그러나 98년8월 러시아 채무불이행(모라토리엄),99년6월 말 이후 미국의 금리인상, 지난해 3월 기술주 폭락이 잇따랐고 외환위기 방지차원에서 조세피난처에 대한 규제 움직임이 일어나면서 헤지펀드들의 활동이 줄어들었다.

특히 헤지펀드의 대표격인 조지 소로스의 퀀텀 펀드와 줄리안 로버트슨의 타이거 펀드가 큰 손실을 내면서 전반적으로 헤지펀드들의 움직임이 크게 위축됐다.

지난해 하반기 이후부터는 미국증시를 비롯한 세계증시가 위축됨에 따라 국제투자자들의 투자성향이 안전자산과 ''고위험-고수익'' 금융자산으로 양분화되는 과정에서 헤지펀드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올들어 국제금리의 동반인하로 재원조성도 쉬워졌다.

동시에 조세피난처에 대한 규제움직임에도 불구, 개도국들의 정치일정과 맞물려 조세피난처가 활성화됨에 따라 헤지펀드의 활동이 재개되고 있다.

최근 헤지펀드의 활동은 전성기를 누렸던 러시아 모라토리엄 이전 수준으로 회복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미국의 반대로 OECD 차원의 조세피난처에 대한 규제가 불투명해짐에 따라 앞으로 헤지펀드들의 활동은 더욱 기승을 부릴 것으로 예상된다.

이 경우 앞으로 2년 동안 정권교체 일정이 많은 개도국들이 헤지펀드의 환투기 공격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 부담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상춘 전문위원 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