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 급등세가 멈추지 않고 있어 하반기 거시정책 운영에 큰 짐이 될 것으로 우려된다.

물가가 5%를 넘어서게 되면 통화신용·재정정책 등 경기회복을 위한 거시정책 수단들은 설 자리를 잃게되고 장기금리는 상승 압력에 시달리게 된다.

진퇴양난의 상황에 빠지는 것이다.

물론 지금 추세로는 연평균 상승률이 잘하면 3%대 후반~4%대 초반,최악의 경우라도 4%대 후반정도에 그칠 것이라는 게 대부분 민간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그러나 물가가 통제범위에 들어왔다는 것이 확실해지기까지는 적지않은 부담으로 작용할 게 뻔하다.

때문에 정부 역시 어떻게 하든 연평균 물가상승률을 3%대로 묶겠다고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환율이 큰 폭으로 떨어져야 가능한 일이며 그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아 보인다.

◇올해 물가 전망=지금의 물가 급등세는 6월부터는 어느정도 꺾일 전망이다.

오갑원 재정경제부 국민생활국장은 "작년 물가는 1∼5월에 안정세였고 6월부터 급등했다"며 "따라서 올해는 반대 현상,즉 6월 이후에는 물가 수준도 크게 낮아질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또 "물가급등을 주도해온 농축수산물 가격이 내달 중순부터 크게 떨어질 전망이고 공공요금 인상요인도 별로 없어 6월 이후엔 3%대로 떨어질 게 확실시 된다"고 말했다.

대부분 전문가들은 이런 전망에 동의하면서도 연평균을 3%대로 묶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주장한다.

올들어 4월까지 월별 상승률이 4.2∼5.3%로 워낙 높았던 탓에 하반기 물가가 3%대로 떨어져도 연평균은 4%를 넘어설 것이라는 분석이다.

최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올 평균 물가상승률을 4.3%로 전망한 것도 이같은 논리에서였다.

◇환율이 문제=가장 중요한 변수는 환율이다.

정부는 물론 연구기관들도 환율이 떨어져준다면 연평균 3%대도 얼마든지 가능하다고 지적한다.

한국은행이 거시경제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 환율이 10% 오르면 물가는 1.5%포인트 정도 상승한다.

따라서 지난 1∼4월 중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15%정도 상승한(평균 1천2백85원) 환율이 원상회복되는 것 만으로도 소비자물가는 2%포인트 정도 떨어질 것이란 계산이 가능하다.

문제는 이런 ''희망''이 현실화할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것.

경기침체를 수출확대로 뚫어야 하는 우리 정부로서는 경쟁국 환율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어 인위적인 통화강세 정책을 펴기 어렵기 때문이다.

◇금리정책도 변수=물가 불안을 잡지 못하면 장기금리가 들썩일 수도 있다.

또 인플레 심리를 자극하는 것도 불가피하다.

경기부양을 위해서는 금리를 어느정도 내려주어야 하지만 물가상승이 계속되는 상황에서는 섣불리 금리에 손대기도 어렵다.

한국은행은 이번달(5월)금리도 동결 쪽으로 방향을 굳힌 상태다.

김인식 기자 sskis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