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정부가 발표한 e-비즈니스 확산 국가전략은 한마디로 `e 트랜스포메이션(e Transformation)''으로 요약된다.

e 비즈니스 인프라의 기초를 다지는데서 한단계 더 나아가 기존 산업에 `착근(着根)''시키고 확산시킨다는 개념이다.

즉,설계 조달 생산 판매 고객관리 등 기업활동 전반을 e-비즈니스화로 체질개선을 유도,새로운 부가가치와 생산성을 창출하자는 것이다.

산자부 관계자는 "국내 e 비즈니스 분야가 급격한 외형성장을 거듭하면서도 정작 기존산업의 강점과의 접목에 실패,성장동인으로 자리매김하지 못하고 있는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내 e-비즈니스 `외환내빈''=국내 e-비즈니스 인프라는 이미 선진국 수준에 와있다.

97년 160만명에 불과하던 인터넷 이용자는 작년 1천9백4만명으로 급증했고 광케이블도 1백44개 전국 주요지역에 구축돼 있다.

대기업을 주축으로 한 e-비즈니스 투자 역시 갈수록 늘고 있다.

주요 2백대 기업의 올해 e-비즈니스 투자는 2조8천억원으로 작년 대비 27%의 증가율로 세계 평균치(9%)를 크게 웃돌고 있다.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99년 9조원에서 올해 30조원으로 초고속 성장을 자랑하고 있다.

그러나 외형성장과는 달리 실제 산업 활용도는 선진국보다 2~3년 뒤떨어져 있다는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일례로 세계 선두그룹인 국내 전자 등 6대 핵심산업의 전자거래비율은 4%로 미국의 6%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이는 국내기업이 e-비즈니스를 기업활동 프로세스 등 체질개선에 활용하지 않고 오히려 새로운 수익모델에만 관심을 갖는 이른바 `e 비즈니스 착시현상''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기업간 협업부족 <>투자여력 부족 <>불투명한 거래관행 <>표준화.결제시스템 취약등도 큰 원인이다.

99년말부터 추진된 업종별 B2B(기업간 상거래)가 뚜렷한 성과를내지 못하는 것이 단적인 예다.

전업종에 걸쳐 200여개의 e 마켓플레이스가 출현했지만 운영조차 안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간 `IT 후진국''이라는 오명을 듣던 일본도 미국에 뒤질세라 e 트랜스포메이션을 골자로 한 e 재팬 전략을 수립했다.

<>e-비즈 국가전략 내용=작년 2월 발표된 `전자상거래 활성화 종합대책''이법.제도.인프라 구축에 초점을 맞췄다면 이번 전략은 기존산업과 e 비즈니스의 접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설계.조달.생산.판매 등 기업활동 프로세스를 e 비즈니스화한다는 것이다.

핵심줄기는 전자 등 6대 핵심산업과 중소기업으로 나뉜다.

이미 e 비즈니스 성장모델중 초보단계를 벗어난 전자 등 6대 핵심산업은 2003년까지 전자거래비율을 선진국 수준인 15%이상으로 끌어올리면서 전체 산업의 e 비즈니스화를 견인하는 역할을 맡게된다.

중소기업의 e 비즈니스화는 저변확대 차원에 의미를 둘 수있다.

중소기업은 올들어 1만개 IT화사업이 큰 호응을 보임에 따라 2003년까지 3만개로 확대된다.

공공부문의 선도적 역할도 빼놓을 수 없다는 것이 이번 전략의 포인트다.

전자조달.결제시스템을 2003년까지 완성해 조달에 참여한 기업과 업종의 e 비즈니스화를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관계부처 협의기구를 산자부 장관이 주재하는 전자거래정책심의회로 격상시킨 것은 정부의 e 비즈니스 정책역량을 강화시키겠다는의미다.

<> 기대효과 = 작년말 현재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7조원, GDP 대비 전자상거래 비중은 3.2%다.

그러나 이번 전략이 차질없이 완수된다면 2003년 시장규모가 100조원 이상, 전자상거래 비중이 15% 이상으로 올라가 세계 선두그룹에 낄 수 있다는게 정부의 설명이다.

이 경우 매년 GDP의 0.87%인 4조2천억원의 추가적인 부가가치창출과 연평균 0.2~0.4%의 물가하락, 연간 50조원 이상의 비용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정부는 보고 있다.

<> 향후 전망 = 전문가들은 기본적으로 산업의 e 비즈니스화라는 정책방향에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면서도 시행과정에서 난제가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아직까지 e 비즈니스화에 대한 기업인들의 확신이 부족한데다 전자상거래의 핵심인 기업간 협업문화가 크게 부족한 상황에서 2003년까지로 시한을 못박은 이번 전략이 기대만큼의 유인효과를 거둘지 의문이라는 시각이다.

또 부가가치와 원가절감 효과가아무리 높더라도 경기침체가 장기화되는 시점에서 기존 설비투자를 마다한채 e 비즈니스쪽으로 선뜻 눈을 돌리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있다.

아울러 부처간 이기주의와 갈등이 잔존하는 상황에서 정책에 얼마나 `힘''이 실릴지 미지수라는 분석도제기되고 있다.

[한국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