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제철의 변신은 성공할 것인가.

권위주의적이고 보수적인 기업, 정부말에는 순순히 따르던 공기업 포철이 민영화 이후 고객 중심의 빠른 경영, 정부 의향보다는 주주 이익을 우선시하는 경영을 표방하며 변신에 나서고 있다.

포철의 우선 목표는 ''고객 중심의 기업''.올해 7월까지 업무프로세스 혁신이 끝나면 포철의 주문,구매,판매 과정은 인터넷을 통해 전부 공개된다.

공기업 시절가장 신랄하게 비판받아온 판매 비리를 원천적으로 막기 위한 결단이라고 포철은 말한다.

나아가 포철은 지금까지의 안정위주 경영에서 벗어나 과감하고 빠른 경영을 시도하고 있다.

정보통신, 에너지 분야로의 사업다각화를 원하는 포철의 벤치마킹 대상은 50조원을 동원, 하니웰이란 회사를 하룻밤새에 인수하는 등 과감한 투자로 다각화에 성공한 GE이다.

포철은 이를 위해 현재 갖고 있는 유동성 2조원에 더해 1조원을 추가로 확보할 계획이다.

필요하면 부채비율(88%)을 다소 높여서라도 자금을확보, 한국통신과 한국전력 민영화 등의 기회가 올 때 주저없이 나선다는 것이 포철의 전략이다.

그러나 포철의 변신을 가장 실감나게 하는 것은 정부에 대한 달라진 태도이다.

올해들어 포철은 동기식 IMT 2000 컨소시엄 참여, 한국통신 1차 지분매각 참여, 현대하이스코에의 핫코일 공급 등 정부가 바라는 일들에 대해 전부 거부 의사를 분명히 했다.

산업자원부의 철강분쟁 중재에 대해서는 "통상마찰을 일으켜 국익에 어긋난다"는 논리까지 내세울 정도였다.

포철은 이에 대해 달라진 지배구조를 잘 봐야 할 것이라고 말한다.

포철의 외국인 지분율은 현재 54%에 달한 반면 정부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은행, 투신사, 연기금 등 국내 기관투자가들의 지분은 20%로 경영진 교체에 필요한 최소지분인 25%에도 미치지 못한다.

이는 유상부회장등 경영진의 임면권이 정부손에서 외국인 주주에게로 넘어갔다는 것을 뜻한다.

포철은 또한 국내 대기업중 유일하게 외국인 사외이사가 경영에 참여하고 있는 기업이기도 하다.

포철 관계자는 "외국인 주주들이 포철에 요구하는 것은 국민기업이라는 애매한 구호보다 주주 이익을 극대화하는 것"이라며 "포철의 모든 의사결정은 주주이익을 우위에 놓고 이루어 질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