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부총리제가 지난 98년 2월 폐지된지 2년 11개월만에 부활됨에 따라 경제부처간 위상과 경제팀 운용에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경제부총리제 부활은 경제정책을 명실상부하게 종합조정할 수 있는 구심점을 만들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그동안 재경부 장관은 경제팀장으로 금융.기업구조조정을 비롯한 경제정책을 총괄해 왔지만 실권이 없는 명목상 수장일 뿐이었다.

은행 합병, 공적자금 추가조성 등 민감한 현안에 대한 부처간 다른 목소리를 효과적으로 조정하지 못했다.

재경부는 경제부총리제 도입과 함께 이같은 경제정책 혼선을 방지할 시스템 마련을 추진중이다.

경제부처 장관들이 참석하는 경제정책조정회의를 현재 월 1회에서 격주로 늘리고 법률 제.개정 등 국무회의에 상정되는 경제관련 안건중 부처간 이견이 있는 사안은 반드시 이 회의를 거치도록 하는 방안을 강구중이다.

경제정책조정회의는 통상문제 등 대외경제정책 조정기능도 맡게 된다.

또 차관보가 주재하는 실무조정회의를 신설해 부처간 정책 사전조정기능을 강화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재경부 위상은 크게 높아질 전망이다.

그러나 재경부 내에선 부총리제만으론 원만한 경제정책 조정이 힘들다는 견해가 나오고 있다.

재경부의 한 관계자는 "예산권이 기획예산처에 있는 한 다른 경제부처들과 국회의 협조를 이끌어낼 만한 현실적 수단이 별로 없다"고 주장했다.

부처간 이해가 걸린 대목에선 지금처럼 여전히 조율이 어려울 것이란 우려다.

이에 대해 다른 경제부처들은 벌써부터 재경부의 독주를 걱정하는 눈치다.

산업자원부의 한 관계자는 "''재경부는 겸손한 자세로 선도자 역할을 다하라''는 김대중 대통령 지시에 충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현철 기자 hc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