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교역국의 경제여건에 관계없이 올 한해 우리나라에 대한 통상압력은 크게 악화될 것으로 예상됐다.

국제통상환경을 주도하고 있는 미국이 지난해 4천억 달러를 넘어선 경상수지적자를 줄이는 문제가 1월 20일 공식 업무가 시작되는 부시 정부의 최대경제과제로 부각되고 있고,갈수록 국제관계에 있어 세계 각국의 경제적 실리추구가 중요시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개도국으로부터도 통상압력이 높아져 우리나라의 통상환경은 선진국과 개도국간에 샌드위치 국면에 놓일 것으로 우려했다.

미국은 경상수지적자가 최대현안으로 부각됨에 따라 응답자의 75.1%가 강력한 통상정책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했다.

관심이 쏠리고 있는 부시 정부의 대한 통상정책에 대해서는 한미간 무역불균형이 확대되고 있고 우리 수출품목의 편중화 현상이 심해지고 있는 점을 들어 클린턴 시절보다 강경노선으로 선회될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유럽 경제는 호조세가 지속된다 하더라도 역내산업 보호와 기술표준,환경보호 문제로 50.3%가 유럽으로부터 통상압력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응답자들은 유럽이 갈수록 자급자족(Autarky)적인 성격이 강해지는 것을 예의 주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일본과의 통상환경은 금년보다 악화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으나 71.4%가 한일 양국이 경기둔화로 교역규모가 줄어들 것을 우려했다.

앞으로 우리나라의 통상환경에 있어 유념해야 할 대목은 개도국으로부터의 통상압력이 선진국 못지 않게 높아질 것이라는 점이다.

특히 WTO 가입 이후 우리 수출상품과의 경합관계가 높아지면서 중국으로부터 통상압력이 높아질 것으로 보는 사람이 71.4%에 달했다.

중남미 국가를 비롯한 여타 개도국들도 반덤핑 조치를 발동할 수 있는 근거법이 잇달아 마련된 점을 감안해 적극적인 수입규제를 통해 자국의 이익을 옹호해 나갈 것으로 내다 봤다.

동시에 개도국 금융위기 재연가능성도 우리 경제에 부담이 될 것으로 보는 사람이 64.3%나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