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우리 통상환경은 현 정부 출범 이후 가장 악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무엇보다 국제통상환경을 주도하고 있는 미국이 최대경제과제로 떠오르고 있는 경상수지적자를 줄이기 위해 우리를 포함한 동아시아 국가를 상대도 적극적인 통상정책을 펼 가능성이 크다.

특히 한.미간의 무역불균형이 다시 확대되고 있는 데다 우리의 대미국 수출구조가 자동차, 철강과 같은 특정품목에 몰리고 있어 미국의 통상압력의 표적이 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유럽연합은 유럽경제동맹(EMU)이 제자리를 잡아감에 따라 자급자족(Autarky) 적인 성격이 짙어지고 있다.

동시에 표준.인증 문제를 들어 우리와 같은 개도국들의 상품을 규제하는 추세가 강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금년에 유럽경제는 호조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나 우리 상품에 대한 수입규제 압력은 지난해에 비해 줄어 들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일본으로부터는 통상압력이 지난해에 비해 높아지지는 않을 것같다.

지난해 이후 한.일간 거론되고 있는 자유무역협정(FTA)를 비롯해 양국간 교역증대방안이 폭넓게 이루어지고 있어 그 어느 때보다 협력 가능성이 높아 보이기 때문이다.

올 한해 우리의 통상환경에서 예의 주시해야 할 대목은 개도국으로부터 통상압력이 높아질 것이라는 점이다.

갈수록 우리 수출상품과 경합관계가 높아지고 있는 데다, 반덤핑과 긴급수입제한조치(safeguard)를 발동할 수 있는 국내입법을 만들어 놓고 자국의 이익을 적극적으로 옹호해 나가는 움직임이 강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올해는 적극적인 통상정책을 추진해야 정책당국이 예상하는 수출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주요 교역국과 추진하고 있는 정책이 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자유무역협정(FTA)을 구체화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