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승렬 SK 구조조정본부장 =노사갈등은 기업들이 피부로 느끼는 문제다.

언젠가는 한번 치러야 할 홍역이긴 하지만 경제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 진념 장관 =노동시장 문제는 정말 걱정이다.

대우차의 경우 작년 8월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에 들어간 뒤 채권단이 매달 1천5백억원씩 돈을 지원하고 있지만 구조조정은 하나도 안돼 있다.

여기엔 노조뿐 아니라 경영진의 잘못도 많다.

사업장에서의 원칙과 질서를 지금부터라도 잡아나가겠다는게 정부 입장이다.

△ 박웅서 고합 사장 =이제는 노사문제를 노.사.정 차원에서 보지 말고 국민적인 대타협 차원에서 풀어야 한다.

이번 기회에 근로자들의 자각과 국민들의 타협을 끌어내지 못하면 구조조정은 물건너 가고 만다.

△ 진 장관 =기업과 공기업 정부 모두 ''스스로의 개혁''에 나서도록 여건을 만들어갈 계획이다.

개혁은 일과성 이벤트가 아니다.

영국도 개혁을 완성하는데 10년 이상 걸렸다.

△ 이경태 대외경제정책연구원장 =현대건설 처리과정을 보면 정부와 현대건설간 힘겨루기 양상이었다.

정부의 역할에 명확히 선을 긋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 진 장관 =현대건설 처리엔 한가지 원칙이 있다.

현대건설이라고 부도 못낼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실제로 1차 부도를 내지 않았나.

부실한 기업은 언제든지 퇴출된다는 명확한 메시지가 오히려 외국인 투자자들의 신뢰를 높일 수 있다.

△ 조동성 서울대 교수 =증시가 침체를 거듭하고 있다.

증시를 살리려면 기업의 투명성을 확보해야 한다.

집중투표제 등 참여연대가 주장하는 방안도 적극 수용하는 정부 자세가 필요하다.

△ 진 장관 =새로운 제도를 도입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미 도입한 제도를 제대로 뿌리내리도록 하는게 더 급한 과제다.

△ 어윤대 고려대 교수 =내년 3월 기업들의 결산때 회계감사보고서의 3분의 1 이상이 ''무의견''이나 ''부적정''으로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 경우 채권시장이 막히고 자금경색이 심화될 전망이다.

은행으로 몰리는 자금을 주식이나 채권시장으로 유도하는 일이 시급하다.

퇴직 연금으로 간접투자상품에 투자할 경우 소득세를 유예해 주는 미국의 401K 제도 도입을 검토해야 한다.

△ 진 장관 =증권시장은 경제의 거울이다.

증권시장이 가라앉으면 소비 심리에 영향을 줘 경기를 둔화시킨다.

다만 임기응변식 대증처방보다는 증권시장의 체력을 강화하는 다각적인 정책을 펼 계획이다.

△ 박현주 미래에셋자산운용사장 =주식시장의 시가총액이 2백50조원이다.

IMF 직전에 비해 4배가 넘는 규모다.

기업들의 진입만 허용할뿐 퇴출엔 인색하다.

퇴출제도가 갖춰지지 않고는 시장이 자생력을 갖기 어렵다.

은행들이 높은 금리를 걸고 수신경쟁을 벌이는 탓에 회사채 시장으로 돈이 들어오지 않는다.

은행의 수신금리를 내리지 않으면 채권시장 활성화는 불가능하다.

△ 이민화 메디슨 회장 =경제의 근본적인 문제는 신뢰의 부재다.

자금경색 현상도 마찬가지다.

프라이머리 CBO(채권담보부증권) 발행을 통해 기업 돈가뭄을 해갈하기 위해선 보증을 서는 신용보증기금이나 보증보험의 여력을 확충해 줘야 한다.

△ 진 장관 =채권전용 펀드나 프라이머리CBO도 임시적인 방편이다.

근본적인 처방은 금융기관들이 제대로 기능해 돈이 선순환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선 공적자금 조성안이 조속히 국회를 통과해야 한다.

정리=유병연 기자 yoob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