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동북아지역의 경제협력은 유럽 남미 등 다른 지역과 비교해 볼 때 일천한 수준이다.

남북한이 대치하고 있고 세계적 강대국인 일본과 중국이 맞서고 있는 정세 때문이다.

그러나 남북한이 화해와 통일의 길로 나아갈 때는 얘기가 달라진다.

안보는 더이상 경제협력의 장애물이 될수 없다.

한국 중국 일본 등 동북아 3국 경제협력의 최종목표는 자유무역지대(FTA).

아직 먼 얘기지만 역내 국가가 경제에 관한한 하나로 통합되는 것이다.

한.중.일 3국간에 초보적인 단계의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

지난해 11월 한.중.일 3국 정상들은 3국간 경제협력 방안을 모색하기로 합의했다.

이 합의에 근거해 각국 국책연구소들이 나서서 협력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한국은 국무총리실 산하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일본은 경제기획청 산하 일본총합연구소(NIRA)가, 중국은 국무원 산하 개발연구센터(DRC)가 논의창구다.

지난달초 첫 회의를 가졌다.

이 회의에서는 △중국이 WTO에 가입한 뒤 개방화에 나설 때 3국간 협력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 △정보기술(IT) 혁명에 따른 3국간 공조방안 등을 핵심의제로 정해 당장 실천가능한 것부터 논의해 보기로 합의했다.

한.일간에는 투자협정이 정부차원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배영식 재경부 경제협력국장은 "조만간 가시적인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말해 협상전망이 밝음을 시사했다.

투자협정은 양국 기업이 상대국에서 내국인 자격으로 기업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

한.일간 자유무역지대(FTA) 협상도 정부차원은 아니지만 국책연구소간 논의가 이미 시작됐다.

KIEP와 일본경제연구소가 이미 두번의 세미나를 가졌다.

연구소 차원에서 양쪽 의견이 어느 정도 조율되면 정부간 협상으로 승격될 것이라는게 정부 관계자의 설명이다.

김인식 기자 sskis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