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한달도 채 남지 않은 기간중에 대우자동차 인수자를 선정하려면 해결해야할 과제들이 한두가지가 아니다.

우선 정부와 채권단이 시간에 쫓긴 나머지 "조기매각"에 따른 여러가지 문제점들을 짚고 넘어가지 않을 경우 상당한 후유증이 예상된다는 지적이다.

이찬근 인천대 교수는 "협상력이 약해진 채권단이 고용보장 협력업체보호 적정가동률 보장의 현안을 등한시할 경우 상당한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사실 지금은 조기매각의 당위성에 묻혀 있지만 당초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고려됐던 ''매각뒤 대우자동차의 중장기 비전''과 ''국내 자동차업계의 발전''을 되짚어 봐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바쁠 때일수록 원론이 중요하다''는 얘기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우선 우선 매각 및 협상주체를 명확하게 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지금까지 대우차 매각협상을 진두지휘했던 오호근 대우구조조정협의회 의장은 조만간 의장직을 사임할 것으로 알려졌다.

대외 협상창구 역할을 해왔던 오 의장이 물러날 경우 대우차뿐만 아니라 대우 전반의 구조조정을 위한 ''지휘력 공백''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정산기준과 절차를 합리적으로 마련하는 작업 역시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정밀실사시 드러나는 우발채무를 채권단이 떠안는 문제야 그렇다치더라도 어차피 정산이라는 절차가 현실적으로 ''가격 할인''을 전제로 한 것인 만큼 헐값 매각시비를 차단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대우차 관계자는 "이사회와 주주의 입김이 센 외국기업들은 정산과정에서 까다로운 인수조건을 내걸 공산이 크다"며 "이것저것 꼬투리를 잡아 가격을 깎으려고 들면 한도 끝도 없는 만큼 사전에 이를 조정할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최근 영업흐름 난조로 실사에 나섰던 포드마저 인수를 주저했던 것으로 알려진 쌍용자동차와 일부 자산 등은 일괄매각보다는 분리매각이 바람직하다는 의견도 만만찮다.

원매자가 원할 경우 대우자동차의 국내사업장과 해외사업장을 분리 처리하는 방안도 전향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따라서 채권단은 인수자 선정에 앞서 GM-피아트 현대-다임러 컨소시엄과 사실상 ''수의계약''에 준하는 개별협상을 강도높게 진행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이 과정에서 대우차가 제 가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적정 조업률을 유지하고 국내외 영업망을 정상가동하는게 필수적이다.

특히 채권은행들이 신규자금지원에 앞서 대손충당금 적립에 부담을 느끼지 않도록 관련규정을 완화해줄 필요가 있다.

또 매각절차가 보다 탄탄하게 진행되려면 굳이 ''한달내 인수자 선정''이라는 조건에만 얽매이지 말고 다소 시일이 걸리더라도 확실한 구속력을 가진 ''바인딩 오퍼(Binding Offer)''를 이끌어 내야할 것으로 보인다.

조일훈 기자 ji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