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채권단이 선인수.후정산 방식을 제시한 것은 인수자의 중도포기를 막아보자는 의도에서다.

그러나 정부와 채권단이 정산기준을 유리하게 짜기 어려운 막다른 상황을 스스로 초래해 매각가격은 당초 GM이 제시한 것으로 알려진 40억달러 수준에서 크게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또 선인수.후정산 방식 채택으로 대우차에 쌍용차 대우자판 등 다른 계열사를 함께 판다는 일괄매각 방식의 고수는 사실상 의미가 없어졌으며 대우차의 일부 생산시설만 제값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 과정에서 정부와 채권단의 책임을 지지 않으려는 태도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많았다.

산업연구원 오규창 수석연구원은 "대우차의 군산 창원 폴란드공장 등 핵심플랜트의 자산가치 정도만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며 "나머지 불필요한 부분을 우리가 버리느냐 GM이 버리느냐의 차이만 있을 뿐"이라고 말했다.

오 연구원은 "기아차 처리부터 자동차산업 구도가 꼬이기 시작했다"며 "대우차 쌍용차 등의 퇴출문제를 해외매각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 것부터가 순진했다"고 지적했다.

서울시립대 손정훈 경영학부 교수는 "정부 방식(선인수.후정산)에 GM이 순수히 응할 것으로 기대하기 어렵다"며 "수익성 있는 부분만 따로 떼어파는 분할매각 방식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손 교수는 "정부와 채권단도 어쩔 수 없는 상황이 있었겠지만 협상시한을 못박고 일괄매각을 고수하는 바람에 매각협상 자체가 어렵게 됐고 협상력은 땅에 떨어질 만큼 떨어졌다"고 비판했다.

박민하 기자 haha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