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드의 대우자동차 인수 포기로 우리경제에 비상이 걸렸다.

은행들이 매각가격 하락으로 1조원 이상의 추가손실을 입게 되고 공적자금도 더 늘려야 할 판이다.

어려워진 은행들은 기업대출에 몸을 더 사려 자금난을 부채질할 소지도 커졌다.

금리 환율 주가가 요동칠 가능성도 높다.

대우차 쇼크와 처리방향 등을 시리즈로 짚어본다.

---------------------------------------------------------------

대우차에 대한 금융권 총여신 12조6천억원중 은행권은 4조5천억원 가량을 떠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은행의 여신액 1조5천억원을 제외하면 대부분이 한빛(9천억원) 외환(4천억원) 조흥(3천8백억원) 등 공적자금 추가투입을 앞둔 은행들에 몰려 있다.

이들 은행은 매각가격 하락에 따른 추가 충당금 적립과 매각지연에 따른 신규 운전자금 지원이 불가피해 추가 손실이 불보듯하다.

우선 추가 충당금 부담이 은행의 발목을 잡고 있다.

대우차 매각대금이 어떻게 결정될지 불투명해 정확한 산출은 어렵지만 1조원 정도의 추가 충당금 적립부담이 생길 수 있다.

현재 은행권 여신 4조5천억원에 대한 평균 충당금 적립비율이 40∼50%로 추산된다.

포드가 제시했던 7조7천억원을 가정할 경우 금융권 여신에 대한 손실률은 평균 40% 안팎에 그친다.

그러나 포드의 인수포기로 대우차 매각대금은 3조원대로 떨어질 가능성이 커졌다.

지난 입찰때 GM의 제시금액이 4조5천억원대로 알려지고 있어 포드의 ''낙마''로 유리한 협상포지션을 차지한 GM이나 현대-다임러컨소시엄이 가격을 깎아내릴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매각대금이 3조5천억원 수준에서 결정될 경우 금융권 손실률은 70% 이상으로 치솟게 되고 은행권이 추가로 쌓아야 할 충당금은 1조원이 넘게 된다.

이같은 추가손실은 지난 6월말 발표된 은행권 잠재부실에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에 공적자금 투입은행들을 정상화시키는데 필요한 공적자금 소요액도 크게 늘어나게 됐다.

고스란히 국민부담 증가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매달 1천5백억원 가까이 소요되는 대우차 운전자금 지원을 위한 신규자금 부담도 대부분 은행들이 떠안게 될 전망이다.

협상이 완료될 때까지 공장을 돌려야 매각가치 하락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주채권은행 중심으로 신규자금 갹출이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

채권단 관계자는 "현재 운전자금 지원용으로 남아 있는 자금은 1천6백억원에 불과하다"고 말해 이를 뒷받침했다.

''포드 쇼크''는 은행권 타격에 따른 혈세부담 증가에 그치지 않는다.

대출여력 축소로 고전하고 있는 공적자금 투입은행들이 휘청거리게 됨에 따라 사실상 동면상태인 은행의 자금분배 기능은 더욱 위축될 수밖에 없게 됐다.

은행들에는 1,2차 채권전용펀드에 아직 부담해야 될 몫이 남아 있다.

게다가 자금이 바닥난 예금보험공사에 돈을 빌려줘야 할 상황이어서 대출여력이 거의 없는 상태다.

시중은행 자금담당 임원은 "신규 대출은 물론 이미 나간 대출에 대해서도 회수기간을 앞당길 것을 검토해야 할 상황"이라고 말했다.

연말까지 20조원 가량의 회사채 만기물량이 대기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업의 자금난은 더욱 악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3년만기 국고채 금리 연 8%선을 위협하고 회사채 금리도 9%를 목전에 두고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대우의 다른 계열사 워크아웃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기업.금융구조조정의 일정에 차질이 불가피하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며 "국가신인도 하락까지 감안하면 우리 경제가 입을 유.무형의 손실은 추정이 안된다"고 우려했다.

박민하 기자 haha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