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금융감독원에 제출된 16개 그룹의 결합재무제표(금융계열사 제외)를 분석한 결과 4대 그룹중 LG의 부채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롯데는 82%의 부채비율을 기록해 최우량 재무구조를 갖고 있는 반면 쌍용은 무려 1천7백%로 나타나 대조를 이뤘다.

이들 수치는 작년말 각 그룹이 밝힌 부채비율보다 늘어난 것으로 각 계열사간 중복계산된 매출액과 출자액을 제외했기 때문이다.

4대 그룹 가운데 삼성을 제외한 현대 LG SK는 모두 2백% 이상의 부채비율을 기록했다.

특히 LG는 결합시 2백73%의 부채비율을 기록,과거 연결재무제표시의 1백84%를 크게 웃돌았다.

LG 관계자는 "부채액수는 그대로인데 계열사에 출자한 자본금이 상계되면서 부채 비율이 높아진 것"이라며 원론적인 해명을 했다.

재계에서는 LG의 각 계열사 출자구조가 다른 그룹에 비해 복잡하게 얽혀있는 탓으로 분석하고 있다.

삼성은 결합재무제표 적용시 부채비율이 1백94%에 불과했다.

몇년째 지속돼온 반도체 호황과 건실한 구조조정 덕분이라는 지적이다.

최근 유동성이 별로 좋지않은 현대도 2백29%로 비교적 양호한 편이었다.

현대 경영전략팀의 현기춘 이사는 "현지법인의 부채비율이 약간 높지만 최근 이익을 내면서 부채비율이 생각보다 높지 않게 나왔다"며 "계열사간 출자금액은 12조원 정도로 업계 평균치보다 낮은 편"이라고 말했다.

매출의 경우 중복계산에 따른 허수가 사라지면서 현대는 당초 발표보다 38% 줄어든 69조9천억원으로 조사됐다.

삼성은 60조원,SK는 35조원 안팎으로 감소했다.

순이익의 경우도 금융부문 손실과 내부거래 손익이 사라지면서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

결합시 부채비율이 다소 높게 나온 한화는 금융계열사인 한화증권 한화파이낸스를 포함시켜도 부채비율이 19%밖에 늘어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회사 관계자는 "계열사 출자분이 자본금에서 제외된 것이 부채비율 증가의 큰 원인"이라고 말했다.

두산의 경우 내부출자를 다 상계함으로써 부채비율이 높아지는 한편 계열사간 지분법 평가이익이 별로 없어 순이익도 큰 폭으로 감소했다.

코오롱은 코오롱건설 때문에 부채비율이 올라갔지만 기업회계기준 조정으로 결합후 당기순이익은 오히려 늘어났다.

한솔은 비교적 양호한 수준인 2백26%로 세간의 재무구조 악화설을 일축했다.

회사 관계자는 "내부지분율이 높지 않고 과거 구조조정 과정에서 상당부분의 부실이 해소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동부는 2백53%로 당초 예상보다 높게 나왔지만 신규사업인 반도체 프로젝트는 차입이 아닌 외자유치로 진행되는 만큼 부채비율이 추가로 높아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해명했다.

쌍용은 쌍용양회의 내부총출자 지분 1조5백억원이 빠져 나가면서 결합후 부채비율이 1천7백%로 치솟았다.

산업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