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은 투신권이 갖고 있던 부실채권 원본의 총규모는 6조6천9백5억원이라고 밝히고 이 부실은 CBO발행과 펀드내 상각 등으로 완전 클린화됐다고 주장했다.

클린화과정에서 가입고객들은 1조2천억원을 부담했다.

투신운용사의 대주주인 증권사들도 CBO발행이나 미매각수익증권을 줄이는 과정에서 2조원 가까운 돈을 들여 잠재부실을 떠안았다.

투신사들은 담보CP를 제외한 부실자산중 4조4천2백67억원을 다른 우량채권과 묶어 17조원어치의 CBO를 발행함으로써 클린화했다.

CBO발행분중 A급 선순위채(10조8백15억원)는 시장에 내다 팔았다.

후순위채중 A급(6조9천1백4억원)은 신탁재산에 편입했다.

투기채권인 B급 후순위채(7천8백14억원)는 고유계정이나 대주주인 증권사가 부담했다.

또 CBO발행과정에서 신용을 보강하기 위해 증권사가 은행에 예치한 현금예치분(cash reserve)은 1조2백50억원에 달했다.

클린화과정에서 대주주인 증권사가 1조8천억여원을 부담한 셈이다.

결국 대주주인 증권사가 떠안은 B급 후순위채와 현금예치분,여기에 증권사가 미매각 수익증권을 줄이면서 상품계정으로 떠안아 발생한 손실액 1천5백22억원을 합한 1조9천5백86억원이 잠재부실로 남게 된다.

약 2조원의 손실을 우선 판매사인 증권사가 모두 부담했지만 앞으로 투신운용사와 함께 분담비율을 정하게 될 것이라고 금감원 관계자는 설명했다.

투신사들은 부실자산 원본중 나머지 2조2천6백38억원의 절반이상인 1조2천1백8억원을 이미 상각(손실)처리해 펀드의 수익률을 하락시킴으로써 고객들에게 부담시켰다.

상각후 나머지 잔액인 1조5백30억원은 부실채권의 잔존가치 또는 적정가격으로 평가된다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한편 1백억원 이상인 개별펀드의 부실자산과 상각률 등이 투신협회 홈페이지(www.kitca.or.kr)를 통해 1일부터 투자자들에게 공개된다.

최명수 기자 ma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