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간에 가장 활발하게 이뤄질 경협분야는 역시 북한의 사회간접자본(SOC) 확충이다.

양국 정상이 합의한 남북균형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북한의 낙후된 철도 도로 항만시설을 정상화하는 것이 시급하기 때문이다.

김대중 대통령은 전력도 우선 순위의 하나로 꼽았다.

전력 부족으로 공장가동이 어려운게 북한의 현실이다.

북한 역시 SOC에 남측 기업을 끌어들여 경제도약의 기틀을 마련하는 구도를 갖고 있다.

경의선 복원이 우선 이뤄진다는 전제에서 해주나 신의주, 나진 선봉등 각 지역 공단개발도 착수될 전망이다.

도로망 연결, 항만시설, 육상수송로 확충 등도 선결과제다.

문제는 투자비용이다.

삼성경제연구소는 "경의선 연결과 관련된 서부권(평양-신의주, 평양-개성) 철도 복선화, 남포 신의주 등 전용공단 조성 및 인프라확충 비용 등을 계산할 때 SOC 투자비용은 적어도 9조8천억원이 소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북한은 필요한 자금을 전액 외부에서 조달해야 한다.

한국정부가 지원할 수 있는 자금은 극히 제한적이다.

남북경협기금 대외경제협력기금은 1조원에도 못미친다.

내년 예산을 5천억원 정도 늘린다는게 통일부 구상이지만 실현여부는 불투명하다.

우리 정부는 국제기구나 국제민간금융기관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방안을 강구할 방침이다.

재원조달이 순조롭게 이뤄지지 못할 경우 북한의 SOC 확충사업은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재계에선 이미 정부가 그룹별로 특정 분야의 SOC 확충을 지원해 달라고 요청했다는 얘기도 들린다.

해당 그룹들은 수지타산과 그룹이미지 등을 감안해서 결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강현철 기자 hc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