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연구소와 학계 전문가들은 2차 금융구조조정 등 경제현안 해결이 지체될 경우 실물경제 회복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정문건 삼성경제연구소 상무는 "고유가, 수입수요 증가, 교역조건 악화 등 최근 실물경제 여건이 좋지 않은데다 금융부문의 불안 요인까지 겹쳐 경제의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는 국면"이라고 진단했다.

정 상무는 "금융 구조조정을 신속히 마무리짓지 못하면 실물경제 회복에 걸림돌이 될 것이며 장기적으로는 대외신뢰도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정책 담당자들은 유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부의 개혁의지가 이완 현상을 보이고 있다면서 정권 초기의 마음가짐으로 돌아가라고 주문했다.

오문석 LG경제연구원 경제연구센터장은 "기업이나 금융부문의 체질이 외환위기 전보다 나아진 것이 없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경제 위기설이 흘러나오고 있다"고 분석했다.

오 센터장은 "실물경제 상승추세가 둔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므로 정부는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근의 동남아 위기와 관련, 자본수지와 외환보유액 등을 감안할 때 우리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현재로서는 인플레 압력이 크지 않지만 4.4분기부터는 긴축 정책으로 전환하는 것이 내년도 경기 연착륙을 위해 안전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부의 공적자금 투입에 따른 도덕적 해이를 방지하는 조치가 필수적이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나성린 한양대 경제학과 교수는 "지난해 막대한 공적자금과 공공자금이 투입됐음에도 불구하고 금융권 부실이 여전한 것은 만연해 있는 모럴 해저드 때문"이라며 "금융시장 불안을 볼모로 자구노력은 뒷전으로 미룬 채 막대한 공적자금의 투입을 요구하는 투신사들과 투자자들의 태도가 대표적인 사례"라고 지적했다.

유병연.박해영 기자 yooby@k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