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후 단행될 제2차 구조조정 대상에 국책은행, 그중에서도 특히 기업은행을 포함시켜야 은행합병등 금융구조조정의 시너지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시중은행들의 지적이 잇따라 정부의 수용여부가 주목된다.

3일 금융계에 따르면, 은행들은 총선후 단행될 은행합병등 2차 금융구조조정에 대비해 각종 시나리오를 검토한 결과 구조조정대상에 기존의 시중은행외에 국책은행까지 포함시켜야 3자간 합병이든 2자간 합병이든 보다 생산적이고 다양한 짝짓기가 가능하며 금융업 전체 발전에도 도움이 된다는 결론에 도달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들 시중은행은 산업,수출입,기업등 3개 국책은행 가운데 특히 기업은행에 대해 강한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귀추가 주목된다.

기업은행은 은행 자본금 1조3666억원 전액을 정부가 보유하고 있는 국책은행으로, 과거 개발연대에 시중은행들이 중소기업 대출을 기피하자 이를 보완하기 위해 지난 61년 중소기업은행법에 의거해 설립됐다.

기업은행은 국제통화기금(IMF)위기직후인 지난 98년 중소기업의 무더기 도산으로 1조3000억원의 적자를 기록했으나, 지난해에는 창사이래 최대규모인1883억원의 흑자로 전환했다.

시중은행들이 기업은행을 합병 최우선 파트너로 주목하는 대목은 향후 안정적 수익성이다.

기업은행이 99년말 현재 거래하는 중소기업 숫자는 7만5000여개로 이들은 IMF한파를 이겨낸 견실한 기업들로 앞으로도 지속적 성장이 가능한 알짜기업들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현재 코스닥등록기업의 43%가 기업은행과 거래하고 있을 정도로 신흥벤처기업들과의 관계도 양호하다.

이밖에 영업점숫자가 372개,종업원숫자가 6500명으로 합병에 가장 적합한 규모이며, 정부가 100%지분을 보유하고 있어 합병결정이 신속히 진행될 수 있다는 점등이 강점으로 꼽히고 있다.

실제로 최근 합병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는 국민,외환은행은 3개은행합병이 단행될 경우 하나,한미같은 우량은행 대신 기업은행을 제3의 합병파트너로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외환은행 관계자는 “국민의 소비자 금융,외환의 국제금융 및 대기업금융에 기업은행의 중소기업 금융을 합할 경우 최상의 시너지효과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국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