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단체들이 본격적인 변신 작업에 나서고 있다.

단체설립 목적에 맞게 회원사들의 이익을 종합해 대변하는 한편 자립기반
구축에 열성이다.

최근 이헌재 재정경제부 장관이 전국경제인연합회 위상 문제를 언급한
이후 경제단체들의 변신 노력에 가속도가 붙고 있다.

일부 단체의 경우 회원 의무 가입을 명문화한 관계법령 조항이 폐지됨에
따라 이제 회비에만 의존해선 생존할 수 없다는 위기의식도 깔려 있다.

이에 따라 경제4단체들은 새로운 수익원을 확보하기 위해 뛰고 있다.

"회원 모시기"대책을 잇달아 내놓고 사업 수립의 잣대를 수익성으로
교체했다.

조직을 줄이고 "돈되는"사업을 찾아나서는 곳도 생겼다.

반관반민이던 경제단체들의 성격은 수익 최우선의 사기업으로 바뀌고
있다.

경제단체중 체질 개선작업이 가장 활발한 곳은 대한상의다.

오는 2003년부터 임의단체로 바뀌어 회원 가입 의무가 없어지는게 그
배경이다.

기업들이 회원 가입후 내는 연간회비는 매출액의 0.12%, 한도는
4천5백60만원이다.

대한상의는 회비로 연간 예산의 30% 가량을 충당해 왔다.

회원 가입이 자유롭게 된다면 걷히는 회비 액수는 줄게 마련.

예전처럼 사업을 벌이려면 부족 액수는 어떤 형태로든 보충해야 한다.

상의는 올해부터 수익성이 뒷받침되는 사업을 적극 발굴할 방침이다.

최고경영자 컴퓨터교육이나 해외연수 등 교육사업을 유료로 전환키로 했다.

조직 개편안을 마련, 오는 2월 총회 승인을 거쳐 시행할 예정이다.

실장직이 전부 없어지고 39개 팀중 6~7개가 사라진다.

상의는 "베인&컴퍼니사의 컨설팅 결과에 따라 8명인 임원을 장기적으로
절반으로 줄일 계획"이라며 "앞으로 서비스기관화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겠다"
고 말했다.

무역협회는 현재 회원 모집에 비상이 걸린 상태다.

올해부터 대외무역법상 무역업 신고제가 폐지돼 회원 가입이 의무에서
임의로 바뀐데 따른 것이다.

지난 13일 현재 신규 등록된 1천70개 무역업체중 회원 가입 신청업체는
3백80개사.

신규 가입률이 40%도 안된다.

이런 상황이 지속된다면 기존 회원사들의 탈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협회 관계자는 "협회 존립 명분은 회원사인 만큼 회원 가입을 유도할 수
있는 인센티브를 마련중"이라고 말했다.

무협은 우선 제공 서비스를 회원사와 비회원사별로 차별화할 방침이다.

서비스를 등급에 따라 가격을 매긴 뒤 회원에게만 특전을 준다는 구상이다.

회원사엔 유료서비스를 무료나 30% 이상 할인해 주는 방안을 강구중이다.

전경련은 기능별 위원회 활동을 활성화, 더 많은 회원사들이 참여토록
유도할 계획이다.

전경련은 현재 20여개의 기능 및 특별위원회를 두고 있다.

대기업 회원사들이 유망 벤처기업을 지원할 수 있는 환경도 조성키로
했다.

전경련 산하 국제산업협력재단이 지난해 12월 벤처 거래소(사이트)를
개설한 것은 이런 맥락에서다.

벤처기업에 대해선 해외 투자설명회나 외자유치, 나스닥 상장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대기업과 벤처기업이 위원회 활동을 통해 협력하는 분위기도 조성할 방침
이다.

이밖에 한국경영자총협회도 회원사에 제공하는 서비스 질을 높이는 대책을
강구중이다.

경총은 또 품질보증체제 인증, 최고경영자 알선중개사업 등의 수익사업도
벌일 계획이다.

< 박기호 기자 khpark@ked.co.kr >

( 한 국 경 제 신 문 2000년 1월 17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