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채권매각 -> 금리상승 -> 주가폭락설 ]

11월 대란설의 진원지는 투신사다.

시발점은 역시 11월11일이다.

이날부터 투신사 공사채형수익증권 가입자는 대우채권의 80%를 찾을 수
있다.

환매요구가 일게 뻔하다.

더욱이 채권가격은 갈수록 하락(금리상승))하는 추세다.

대우채권이 아니더라도 수익증권의 수익률은 떨어지고 있다.

내년 2월8일이후 찾는 것보다 그 전에 찾는게 수익률면에서 유리하다는
분석까지 나오고 있을 정도다.

게다가 채권싯가평가를 조기실시할 것이란 얘기도 끊이지 않고 있다.

금융기관과 법인들은 연말결산을 앞두고 있다.

이래저래 환매욕구가 생길수 밖에 없다.

대규모 환매사태가 발생하면 투신사들은 보유하고 있는 채권을 내다팔 수
밖에 없다.

채권매각규모는 종전과 차원이 다를게 분명하다.

대규모 채권매물이 쏟아져 나오면 금리가 치솟는다.

주가도 폭락이 불가피하다.

채권을 팔면 팔수록 투신사의 매각손도 늘어나 수익증권의 수익률은 더욱
낮아진다.

그렇게 되면 환매사태는 가속도가 붙게 된다.

결국 지급불능을 선언하는 투신사가 나온다.

자연스럽게 투신사 구조조정의 소용돌이가 휘몰아친다.

한마디로 "환매사태->채권매각->채권금리상승->수익증권 수익률하락->환매
가속화->금리급등및 주가폭락"이 11월 대란설의 골자다.

<> 투신사 대책 =투신사들은 11월 대란에 대비, 두가지 전략을 취하고 있다.

첫번째는 "우선 살아야 한다"는 전략이다.

두번째는 대란을 방지할수 있는 대책마련 요구다.

살아야 한다는 전략은 유동성비축으로 나타난다.

지난 8월의 경우 주식형 수익증권은 2조7천억원가량 늘었다.

그런데도 투신사들은 60억원어치의 주식을 순매도했다.

채권도 틈만 나면 팔고 있다.

바로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그래야만 11월 대란의 와중에서 살아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투신사들은 이와함께 대란을 방지할수 있는 대책마련을 정부에 요구하고
있다.

초점은 역시 신상품 허용이다.

수익증권을 빠져 나간 돈을 다시 붙잡기 위한 상품이 허용돼야 대란을
막을수 있다는 주장이다.

구체적으론 무기명장기채, 펀드분리, 사모펀드허용, 비과세채권 저축 등
세금우대형 상품 허용 등이다.

이중 가장 비중을 두는 것은 역시 무기명장기채다.

무기명장기채를 발행, 자금을 모은뒤 이 돈으로 대우채권을 떼어 모은
"배드펀드"를 인수하자는 주장을 되풀이 하고 있다.

<> 정부 입장 =정부는 짐짓 태연하다.

각 시나리오별, 단계별 비책이 마련돼 있는 만큼 대란은 없을 것이란
태도다.

그렇지만 내부적으론 당황하는 기색이 역력하다.

금융감독위원회가 마련하고 있는 대책은 크게 세가지다.

우선은 대우사태해결의 조기가시화와 금리안정이다.

대우사태 해결이 11월전에 급진전되고 시장금리가 현재처럼 보합세를 유지
하면 우려하는 환매사태는 없을 것이란 진단에서다.

두번째는 투신사가 건의한 채권수요방안 마련이다.

금감위는 비과세채권저축, 사모펀드, 단기형 뮤추얼펀드, 채권형의 주식형
으로의 전환 등에 대해선 허용해 준다는 입장이다.

이달중 종합 채권수요대책을 내놓을 계획이다.

그러나 무기명장기채 허용에 대해선 펄쩍 뛰고 있다.

어떡하든 이른바 "배드펀드"는 불가능하다는 방침이 확고하다.

세번째는 채권싯가평가제와 투신구조조정대책이다.

금감위는 이 두가지 사안은 내년 7월이후 실시한다는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그러나 만일의 경우에 대비, 이에 대한 저울질도 한창이다.

특히 환매사태가 겉잡을수 없이 번질 경우 구조조정이 불가피하게 앞당겨질
수도 있는 만큼 밑그림 정도는 마련해 놓겠다는 생각이다.

< 하영춘 기자 hayoung@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9월 14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