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콤 경영권 문제가 반도체 빅딜의 회오리 속에서 또다시 관심대상으로
떠오르고 있다.

LG가 반도체를 포기한 댓가로 데이콤의 경영권을 갖도록 한다는 보상차원의
"정책빅딜"이 유력한 방안으로 거론되고 있어서다.

물론 이같은 방안에 대해 기존 대주주인 동양 삼성 대우 등은 강력
반발하고 있다.

특히 동양은 지난 95년 데이콤을 놓고 LG와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당시엔 현대 삼성등도 LG보다는 동양을 거드는 분위기였다.

경영권분쟁이후 당사자인 LG와 동양을 포함, 현대 삼성등 4사는 데이콤에
비상임이사를 파견해 경영에 간접적으로 관여하고 있는 상태다.

데이콤을 둘러싼 LG와 동양의 대결은 LG가 PCS사업에 진출하면서
잠잠해졌다.

LG가 96년8월 "데이콤경영권을 확보키 위해 어떠한 행위를 해서도 안되고
소유지분을 1년내에 5%미만으로 낮춰야 한다"는 조건 아래 PCS사업권을
따냈기 때문이다.

LG는 이에따라 10%에 육박하던 데이콤 지분을 4.87%로 낮추었다.

하지만 보상차원의 "정책빅딜"이 거론되면서 상황은 또다시 달라졌다.

LG가 갖고있는 데이콤 지분은 공식적으로는 4.87%에 불과하나 관계인
지분 등을 포함한 실제 지분은 30%가 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정부가 PCS사업 허가시의 조건만 변경하면 LG는 쉽게 데이콤의 경영권을
장악할 수있다.

정부가 제시한 LG에 제시했던 PCS 허가조건이 현행법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이번에 풀릴 가능성은 매우 높다.

당시 조건은 동일인 지분제한을 했던 옛 전기통신사업법에 근거를 둔
것으로 현재는 이 규정이 삭제됐다.

데이콤 지분소유는 무제한 허용되고 있다.

법에도 없는 제한을 특정기업에 계속 가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정부의 정책적 판단에 걸림돌이 될 수 있는 부문은 데이콤의 대주주군이다.

데이콤은 LG외에 동양(12.31%) 삼성(10.74%) 현대(6.21%) 대우(4.05%)등의
기업이 대주주군을 형성하고 있다.

이들은 LG가 데이콤 경영권을 확보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지난
95년부터 지분확보 싸움을 벌여왔다.

동양 관계자는 "정부가 약속을 지킬 것으로 믿는다"고 원칙론적인 입장을
밝히면서 정책빅딜방안에 반감을 나타냈다.

특히 최근엔 삼성이 계열사를 동원, 데이콤지분 매집에 나서 표면상
최대주주인 동양 지분을 넘어섰다는 얘기가 증권가에서 유력하게 퍼지고
있다.

또 대우도 조만간 이 싸움에 가세할 것이라는 설이 나돌고 있다.

정책빅딜이 또 한차례 데이콤 지분확보 경쟁을 촉발할 전조를 보이고
있다.

데이콤을 둘러싼 경영권분쟁이 뜨거워질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는
제2 시외및 국제전화 사업과 제2시내 전화사업을 함께 접수할 수있기
때문이다.

데이콤은 하나로통신의 최대주주(지분율 10.82%)다.

따라서 데이콤을 인수하면 하나로통신의 경영권도 확보된다.

현재로선 LG가 유리하다.

현대 보유지분도 넘겨받게 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그렇다.

하나로통신의 경우 자사 출자분(4.44%)에다 데이콤이 가진 10.82%와
현대지분을 더하면 22.29%로 늘어나 최대주주로 부상한다.

하나로통신의 나머지 대주주인 삼성 대우(7.03%), SK(5.4%) 지분을 합한
것보다 많아지게 된다.

< 윤진식 기자 jsyoon@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월 9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