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이 경쟁력없는 연구원을 퇴출시키면서
연구생산성을 높일수 있는 구조조정방식을 도입, 눈길을 끌고 있다.

이 연구원은 최근 1백57명이던 직원을 1백6명으로 줄였다.

기존 직원의 32.5%가 연구원을 떠난 것이다.

연구원 구조조정 작업을 주도한 김효석 원장은 "이들을 내보낸 것이
아니라 자발적으로 떠났다"고 말했다.

연구원을 그만둔 51명 가운데 45명이 희망퇴직자이다.

김 원장은 "임금의 유연성"으로 이같은 구조조정작업을 이뤄냈다.

이는 "같은 직장에서 같은 일을 하면서도 성과에 따라 급여가 달라지는
것"이다.

(김원장)우수한 연구실적을 거둔 연구원에게는 높은 급여를 주고 실적이
나쁜 연구원들은 급여를 깎는 식이다.

이렇게 하면 경쟁력이 떨어지는 연구원은 스스로 떠나는 "가치에 의한
자동퇴출시스템"이 갖춰지는 것이다.

김 원장은 "최근 정부 기업등에 구조조정 바람이 불면서 직원을 내보내는
노동시장의 유연성만 강조되고 있지만 이보다 중요한 것이 임금의 유연성"
이라고 지적했다.

임금의 유연성이 확보되면 비용을 줄이면서 성과도 높이는 한편 고용도
늘릴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 원장은 인력 감축을 위한 당근도 함께 제시했다.

희망퇴직금으로 24개월분 기본급을 주기로 했다.

이는 기획예산위원회가 공기업 명예퇴직금 한도로 제시한 6개월분보다
4배나 많은 액수이다.

이 한도를 넘은 18개월분 기본급은 남아있는 직원들이 부담하기로 하고
노동조합의 동의를 얻어냈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이같은 개혁을 뒷받침하기 위해 운영제도도 고쳤다.

연구실적에 대한 평가제도를 종전 3단계에서 5단계로 세분화하고
평가항목을 늘려 객관성을 높일수 있도록 했다.

평가결과를 성과급 산출의 자료로 삼고 성과급 비중도 높여 지금까지
전체 임금의 20%이던 것을 60%로 올렸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역할의 개혁도 추진하고 있다.

정보통신부 산하 연구기관으로서 정통부만 지원하는데서 벗어나 모든
정부부처의 정보화를 뒷받침할 계획이다.

기획예산위원회 행정자치부 농림부 문화관광부등이 필요로 하는
정보화정책을 개발, 연구기관을 정부가 함께 활용하는 새로운 모델을
만들겠다는 구상인 셈이다.

< 정건수 기자 kschung@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9월 12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