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금융자금의 조기지원을 희망하는 우리나라에 대해 국제통화기금(IMF)및
국제사회의 반응은 냉담하기만 하다.

일본으로부터의 브리지론(장기융자를 도입할 때 자금소요시기와 자금유입
시기가 맞지 않아 단기차입 등으로 소요자금을 일시적으로 조달하는 단기
자금)도입도 성사여부가 미지수다.

지난주 방한했던 IBRD(세계부흥개발은행) 협상단은 각종 요구조건만 늘어
놓았을 뿐, 추가지원자금을 조기배정해 달라는 우리측의 요구에 심드렁한
반응을 보이고 돌아갔다.

이런 상황에서 15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IMF이사회도 당초
예상과 달리 한국에 대해 긴급자금 지원일정을 앞당기는 문제를 논의하지
않았다.

17일로 예정된 이사회에서도 논의여부가 불투명하다는 전언이다.

그러면서 IMF본부와 미국재무성 주변에서는 조기지원에 난색을 표하는
얘기들이 끊임없이 흘러나오고 있다.

주요 외신들은 우리나라에 대한 자금지원 일정을 앞당기거나 지원규모를
늘릴 필요가 없다는 요지의 기사들을 잇따라 게재하고 있다.

심지어 IMF가 이달 18일로 예정된 IMF의 지원자금 36억달러도 못들어올
가능성이 있다는 루머가 돌고 있는 지경이다.

물론 이런 흐름들은 IMF와의 합의내용을 충실하게 이행하라는 국제사회의
압력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IMF측이 요구조건들을 충실하게 이행하고 나설 경우 "신속지원
프로그램"의 본격가동도 배제할 수는 없다.

그러나 문제는 조기지원없이 당장의 외환수급을 맞출 수 있는가에 있다.

연말까지 우리나라에 만기도래하는 단기외채는 1백65억달러인 반면 사용이
가능한 외환보유액은 70-1백억달러에 불과하다.

그나마 IBRD의 지원금 20억달러는 오는 26일 이사회를 거쳐야 들어올 전망
이다.

결국 특별한 계기가 마련되지않는 한 해외에서 우리나라에 지원할 자금
규모는 <>IMF 36억달러 <>ADB 20억달러 <>IBRD :20억달러 등 76억달러에 머물
것으로 보인다.

이 기간동안 채권시장의 해외자본유입과 연말부터 판매될 예정인 외화표시
외국환평형기금채권이 변수이긴 하지만 현재 실추된 대외신인도를 감안할 때
외화유입이 큰 폭으로 늘지는 않을 가능성이 높다.

<조일훈기자>

(한국경제신문 1997년 12월 1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