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급기야 국제통화기금(IMF)의 보호막 속으로 들어가기로 사실상
결정했다.

IMF의 구제금융과 이 기관의 융자조건및 권고정책 등이 한국 경제의 당면
최대 변수로 떠오른 것이다.

한국에 앞서 90년대들어서만 멕시코가 5백억달러 이상되는 초대형 구제
금융을 받은 적이 있다.

올들어서는 태국과 인도네시아은 IMF의 지원을 요청했고 자금 집행이
시작됐다.

필리핀은 IMF측과 막바지 협상을 벌이고 있다.

멕시코를 비롯한 구제금융을 받은 국가들은 하나 같이 초강력 긴축정책을
받아 들였다.

IMF 방식의 "거품 제거"를 통해 멕시코의 경우 경제를 정상궤도로 돌려
놓는데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실제로 긴급구제자금을 상환일정보다 일찍 되갚아 국제금융시장의 신뢰도를
한층 더 높여 놓았다.

태국과 인도네시아등도 IMF의 지원이 시작되자 경제가 최악의 상황에서
벗어나는 조짐을 나타내고 있다.

한국보다 앞서 긴급 자금 지원을 받은 국가들의 "IMF 경제"를 살펴본다.

< 편집자 >

=======================================================================

필리핀은 페소화 폭락으로 지난 7월 IMF로부터 지난 7월 만기가 도래한
10억달러의 구제금융을 연장한다는 목표아래 현재 막바지 협상을 벌이고
있다.

이와관련 IMF는 연말안에 필리핀이 필요한 자금을 공급한다는 방침을
정하고 그 조건으로 내년도 경제성장률을 4%로 낮추도록 필리핀정부에
압력을 넣고 있다.

반면 필리핀은 5.5~6% 성장에서 한발짝도 물러설수 없다고 버티고 있는
실정.

이에따라 필리핀정부와 IMF측이 성장률 목표를 둘러싸고 약간의 불협화음을
노출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또 재정흑자를 둘러싸고도 마찰이 빚어질 가능성이 있다.

당초 필리핀정부가 IMF측이 밝힌 올 재정흑자 목표는 1백30억페소(1페소=
약 33원).

그렇지만 현실적으론 20억페소에 그칠 전망이다.

필리핀 정부는 이만한 흑자도 허리띠를 졸라매고 예산을 1백60억페소 아껴
쓴 덕분이라며 IMF에 원망의 눈길을 보내고 있다.

< 김혜수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11월 22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