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일자 뉴욕 타임즈 3면에는 "불안해서 못살겠다. 고용안정 보장하라"
라는 피킷을 든 한국인의 사진이 아주 큼지막하게 실렸다.

모은행 노조가 임금인상과 고용안정을 요구하며 파업을 벌이고 있는 장면
이었다.

이 은행의 노조 위원장은 뉴욕 타임즈 특파원과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한
것으로 돼 있다.

"은행 경영이 어렵다고는 해도 어차피 정부가 구제해줄텐데 무슨 걱정인가.

은행이 망하면 한국 경제에 엄청난 문제가 야기된다.

외국에서는 어떻든 서울같은 곳에서는 은행의 부도는 생각키 힘들다"

한데 이 기사의 핵심은 특정 은행의 경영이나 파업에 관한 "한가한"기사가
아니었다.

한국의 30대 대기업그룹중 7개 그룹이 부도사태를 맞았고 그 결과로 은행
들의 악성대출 비율이 30%선으로 치솟는 등 한국경제와 금융이 심각한 위기
로 치닫고 있다는게 요지였다.

바닥을 모른채 고꾸라지고 있는 외환시장에 한국은행이 연일 개입한
결과로 한국의 외환보유고는 3개월 수입분에도 못미치는 3백억달러 수준으로
떨어져 있다는 "토"도 달았다.

뉴욕 타임즈가 그런 기사에서 큼직한 사진과 함께 한 은행 노조의 "임금
인상과 고용 안정"요구에 관한 대목을 집어넣은 까닭은 무엇일까.

나라 경제가 어떻게 돌아가건 말건 자기 직장이 부실화되건 간에 "내몫만
은 챙겨야겠다"는 정서가 한국의 은행원들에게 심어져 있다는 메시지를 전하
려는 건 아니었을까.

그것도 입에 달 때는 "은행 경영 자율"을 목청 높여 요구하고 상황이
불리하다 싶으면 "정부 지원"에 매달리며 말이다.

뉴욕 타임즈의 이 기사는 때마침 국내 신문들이 일제히 보도한 "금융개혁
법안 국회서 좌초 위기"라는 기사와 맞물려 윌 스트리트의 한국담당 뱅커들
의 눈길을 붙들어맸다.

하필 이 시기에 몇명의 국내 은행장들이 뉴욕에 머물며 미국 메이저은행
회장들을 상대로 "고공로비"를 펴고 있다.

그런데 자구노력은 커녕 은행원들이 "내몫 지키기"에 혈안이 돼 있는
것으로 비춰지고 말았으니 딱한 노릇이다.

"이제 윗분들은 한국 사람들이 뭐라고 해도 절대 믿지 않는 분위기"라고
한숨을 내쉬는 체이스 맨해턴은행의 한국계 간부 앞에서 그저 말문이 막히고
말았다.

이학영 < 뉴욕특파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11월 1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