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자동차는 재산보전관리인으로 박제혁사장과 진념 전노동부장관이
사실상 확정된데 대해 무리없는 선택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기아그룹은 우선 박사장이 자신들의 희망대로 보전관리인으로 선임돼
기아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정상화의 길을 걸을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기아측은 그동안 기아자동차의 법정관리가 불가피해지자 보전관리인만이라도
내부인사를 선임, 제3자인수에 대한 불안없이 회생할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
달라고 정부와 채권단에 간청해 왔다.

김선홍 전회장도 퇴진하면서 이를 촉구했고 그룹사장단은 1일 사장단회의
에서 박사장을 그룹의 대표경영자로 추대, 박사장의 보전관리인선임을
기정사실화했다.

자동차산업의 특수성과 대주주가 없는 기아자동차의 독특한 지분구조를
고려할때 내부경영진을 배제한채 기아자동차를 살려 내기는 어렵다는 전제
에서다.

박사장과 함께 재산보전관리인으로 확정된 진전장관에 대한 기아측의
반응도 배타적이진 않다.

진전장관이 김전회장과 같은 전주고동문이라는 사실외에 노동부장관재직
시절, 노조에 대한 유연한 사고와 정책집행으로 노조원들의 거부감이 적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기아측은 당초 정부가 박사장과 함께 외부인사를 재산보전관리인으로
복수선임한다는 소식을 듣고 불안해 한 것은 사실이다.

경영의 축이 분산될것이라는 우려에서다.

경영의 무게중심이 외부인사에게 쏠리면 기아의 정상화가 직원들의 희망과
달리 외부인사의 구상대로만 처리될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그러나 기아가 정상화되려면 채권단은 물론 정부의 지원이 필수적인 상황
에서 이들과 기아자동차를 매끄럽게 이어주는 역할을 제대로 해낼수 있는
인사가 필요하다는 점에 공감하게 됐다.

보전관리인으로 거론된 여러 후보중 진전장관이 이런 역할을 잘 할수 있을
것이라는게 기아측의 기대다.

다만 진전장관이 기업에 몸담은 적이 없고 자동차산업에 대한 특별한
인연도 없는게 단점으로 지적된다.

그러나 박사장등 현경영진의 도움을 얻으면 기아를 이끌어 가는데 별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 고광철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11월 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