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과연 인류의 행복한 미래를 보장할 것인가"

인터넷 열풍이 세계 각국을 휩쓸고 있는 가운데 최근에는 인터넷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만만찮게 커지고 있다.

인터넷이 음란물의 유통채널이 되고 있다는 것은 이미 주지의 사실.

일부 전문가들은 인터넷을 통한 자료거래량의 70%가 음란물이라는
통계치를 내놓기도 한다.

각국 정부는 이같은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갖가지 프로그램들을
발표하지만 인터넷의 개방성은 규제보다는 자율적인 정화가 해결책으로
더 필요해 보인다.

한 예로 지난 22일 미국법원은 인터넷에서 각국 회원들에게 10대초반의
미소년소녀를 폭행하는 장면을 담은 사진을 유포한 "난초클럽"이라는
모임의 30대회원 3명에게 11~30년 징역형이라는 중형을 선고했다.

결국 독버섯처럼 피어나는 인터넷 범죄를 소탕하기 위해서는 각국
경찰의 견고한 공조가 필요한데 이같은 모습은 아직 요원해 보여 범죄자들
스스로의 반성없이는 인터넷 범죄가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더구나 인터넷의 폐해는 새 기술만큼이나 빨리 번지고 있다.

최근에는 16세 소녀가 인터넷의 메일을 보고 마약을 제조해 미국내에서
문제가 되고 있다.

또 인터넷을 통한 거래정보중 상당수는 기존 질서를 파괴할 만한 가공할
정보를 담고 있다는 것도 문제거리다.

일부에서는 핵폭탄 제조법도 인터넷에서 공공연히 유통되고 있다고
말한다.

상대방의 컴퓨터를 못쓰게 만드는 메일스팸 수법이 유포되고 있는 것은
공공연한 사실이다.

이에대해 각국 정부는 "책임질 수 없는 자유"에 대해서는 철퇴를
가하겠다고 엄포를 놓고 있지만 과거처럼 의지만 갖고 될 문제가 아닌 듯
싶다.

< 박수진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10월 3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