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호의 새 선장은 누가 될까.

정부가 기아자동차와 아시아자동차의 조기 정상화를 위해 기존 경영진을
교체하되 새로운 경영책임자는 법원과 협의해 회사 내부인사를 재산보전
관리인으로 선임키로 하자 새롭게 경영을 맡을 인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아직은 "기존 경영진 교체"가 어느 선까지가 될지 확실치 않다.

정부 일각에서도 "김선홍 회장의 퇴진에 국한될 것"이라는 이야기와
"현재 사장단까지"라는 이야기가 섞여나오고 있어 기아 정상화를 위한
포진을 예상하기 쉽지 않다.

어쨌든 기아자동차와 아시아자동차의 법정관리 추진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경영진 관련 부분은 김선홍 회장의 후임에 집중될 수밖에 없다.

물론 기아그룹은 이제 기아자동차 아시아자동차가 각각 법정관리로 들어가
공기업이나 조기 제3자 인수 등 제각각의 처리방침이 세워진 이상 기아그룹은
공중분해된 것이나 마찬가지여서 그룹 회장은 더이상 의미가 없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기아그룹이 기아자동차를 중심으로 복잡한 출자관계로 얽혀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회장이 맡아야할 역할도 만만치 않다는 해석도 있어 정부가
새로운 회장을 조기 임명, 차기 전권을 갖고 그룹의 정리를 맡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재산보전관리인의 경우 정부는 일단 기아그룹 내부에서 임명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이 경우 기아그룹내부에서 거론될수 있는 인물로는 박제혁 기아자동차
사장, 정문창 아시아자동차 사장을 비롯해 경영혁신기획단을 맡아
채권단과의 대화창구 역할을 맡아온 송병남 사장, 그룹의 입으로서 역할을
해온 기아정보시스템의 이종대 사장, 부도가 나지 않은 기아자동차판매의
유영걸 사장 등이 있다.

나머지 계열사의 사장들이 기아자동차나 아시아자동차의 재산보전
관리인으로 영입될 가능성도 없지는 않지만 우선 이들이 기아그룹 전반에
대해 가장 잘 알고 있고 그동안 채권단과의 대화를 맡아왔다는 점이
가능성을 높여놓고 있다.

게다가 이들 모두 원만한 성격의 소유자여서 종업원들을 끌어안으면서
회사정상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인물들이라는 점도 가능성의 한 이유다.

물론 정부가 이야기하는 "기존 경영진 교체"의 의미가 기존 주요 계열사의
사장까지를 포함할 경우 박사장과 정사장은 대상에서 제외될 수밖에 없다.

물론 기존 사장급들이 모두 배제될 가능성도 무시할수 없다.

채권단이나 법원이 확실한 "김선홍 회장 사람"으로 분류할 수 있는 현직
사장들로 법정관리를 진행해나가기 어렵다고 판단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 김정호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10월 2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