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에너지의 안정적인 확보를 위해 이의 공급선을 다변화, 석유수입의
중동지역 의존도를 오는 2006년까지 65%까지 내리는 반면 대체에너지가
총에너지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 수준으로 끌어 올리기로 했다.

13일 통상산업부가 마련한 "국가에너지 기본계획안"에 따르면 에너지
공급선다변화를 위해 중동지역에 대한 석유수입 의존도는 이 지역의 석유
매장량이 전세계의 74%, 생산량의 수출비율이 52%에 이르고 있는 점을
감안해 점차 낮추기로 했다.

대중동 석유수입 의존도는 지난 85년 57%에 달한 이후 계속 높아져 95년
에는 78%로 높아졌다.

그러나 국내에서 많이 소비하고 있는 저유황과 경질유를 많이 생산하고
있는 동남아지역은 수송거리가 짧은 이점을 활용하고 유전개발에 적극
참여해 의존도를 25%까지 높이고 원거리지역인 미주와 아프리카지역도 10%
수준을 유지키로 했다.

해외 유전개발에 따른 개발원유의 도입비중은 95년 1.2%에서 2010년에는
10% 수준으로 높이고 유연탄은 2006년까지 공급예상량 8천80만t의 30%를
해외에서 개발해 들여 오기로 했다.

이와 함께 2002년까지 8개의 석유 비축시설을 추가로 건설해 정부의 비축
능력을 내년말 46일분에서 60일분으로 늘리고 액화석유가스(LPG) 인수기지도
여천과 울산에 이어 99년말까지 인천과 평택에 2개소를 추가로 건설키로
했다.

남북통합에 대비한 에너지부문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대비하기 위해 "남북한
통합에너지 수급체계" 방안을 마련하되 에너지원별로는 정유산업이나 석유
이용시설 지원, 남북한 석유유통망 구축, LPG의 대북한 취사용 공급, 낙후된
전원체계 개선지원, 북방 전력시장 공동진출 등을 모색키로 했다.

이밖에 태양열과 태양광 연료전지 폐기물이용 등 실용화 가능성이 큰
대체에너지의 기술개발을 촉진해 현재 총에너지의 0.6%에 그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을 오는 2006년에는 2%로 높이기로 했다.

통산부는 5년마다 10년동안의 정책을 작성,운영하고 있는 국가에너지
기본계획안을 이달중에 경제장관회의와 국무회의를 거쳐 최종 확정지을
방침이다.

< 김호영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9월 1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