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아파트 단지(?)"로 전락할 위기에 있는 광주첨단과학산업단지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과 지방자치단체의 장기적인 전략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첨단단지가 첨단아파트 단지라는 오명을 뒤집어 쓰게 될 위기에 처한 것은
정부정책이 일관성을 잃었기 때문이다.

정부의 과학기술정책이 90년 이전에는 연구기관의 설립, 연구개발투자규모
의 확대 등 제도와 기반구축에 촛점을 맞췄다.

그러나 그 이후에는 민간연구 지원으로 바꿔졌다.

이에따라 지난 88년 기본계획을 수립한 광주첨단단지의 경우 국책연구소를
포함한 민간연구소의 유치가 어렵게 된 것이다.

특히 비싼 분양가는 민간기업의 입주를 더욱 힘들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연구용지의 일부를 주거용지로 전용하는 것을 추진해 여론의 비난을
뒤집어쓴 토공은 연구소 유치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정부의 국고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주장하는 것도 이같은 연유에서다.

토공 전남지사 박정석 부장은 "진입도로, 하수종말처리장, IC건설비 등의
기반시설 확충에 소요되는 사업비를 정부에서 지원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부장은 예를들어 다른 산업단지의 경우 기반시설이 정부지원으로 대부분
이뤄졌다고 강조했다.

광주첨단단지의 경우 대부분의 시설비에 대한 정부지원이 미미해 분양가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이미 완공을 눈앞에 둔 기반시설에 국고보조가 이루어지는 것은
거의 있을 수 없는 불가능한 일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다.

정부의 지원이 불가능한 현 상태에서 토공이 선택할 수 있는 방안은
제한돼있다.

따라서 토공은 단 한평도 분양이 되지 않은 연구용지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정부의 자세변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밝혔다.

또 지방자치단체의 장기적인 활성화 대책수립도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광주첨단단지는 산.학협동을 촉진하기 위해 단지내에 생산현장을 갖춰
설계됐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은 만큼 연구기능을 살리는 대신 산업.주거
기능은 보조역할을 해야한다는 지적이다.

이같은 이유로 토공이 현재 분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이유로 전용하는
것을 광주시까지 동의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서강전문대 장철인교수는 "시는 광주첨단이 국가공단이란 이유로 상투적인
정부지원만을 요구하는 것에서 벗어나야 할 것"이라고 말한다.

장교수는 대기업이 판로를 개척하듯 소매를 걷고 기업체와 연구소 유치에
뛰어들어야 광주첨단단지 활성화의 싹이 틀 것이라고 말한다.

이와함께 광주시는 미래산업에 대한 장기적인 구상을 마련, 첨단과학산업
단지와 연계시키는 방안도 시급히 마련해야 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즉 테크노파크 유치와 광주과기원에서 배출되는 인재들을 활용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는 것.

21세기 광주권의 미래를 짊어질 광주첨단과학산업단지는 정부와 지자체 및
지역의 관련기관들이 힘을 합쳐 종합적인 대책을 수립해야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광주=최수용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9월 9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