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철과 동국제강이 한보철강 자산 인수금액으로 제시한 2조원의 타당성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포철측이 "2조원은 결코 낮은 금액이 아니다"고
주장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30일 포철 관계자는 "한보철강 인수가액으로 제시한 2조원은 자산 인수 즉시
일시불로 지급하는 것을 전제로 한 현가 개념"이라며 "상환기간이나 금리조건
등에 따라 금융기관들이 실제 얻을수 있는 금액은 이보다 훨씬 클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채권은행단이 당초 제시한 한보철강의 주식 매각 조건인 10년
거치후 10년 분할상환조건에 4%의 금리를 적용하면 현재 5조원에 달하는
금융권 부채는 10년뒤 7조원으로 늘어난다"며 "그러나 포철이 제시한 2조원
의 현가 역시 실세금리(11~12%)를 적용하고 10년 후에 상환하는 조건으로
따지면 총액이 6조5천억원에 육박해 엇비슷해 진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포철과 동국제강이 자산을 인수하더라도 2조원을 일시에 지불하기
불가능한데다 채권은행단 입장에서도 손실을 줄이기 위해 분할 상환을 희망
하고 있기 때문에 포철측과 채권단의 인수협상이 진행되면 상환기간과 금리
조건이 핵심 관건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채권은행의 한 관계자는 "현실적으로 한보를 인수할 만한 기업이 별로 없는
데다 포철측이 제시한 인수가액 2조원도 상환기간과 금리를 적절히 조화시킬
경우 크게 손해볼 것도 없을 것"이란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그러나 채권은행단은 포철측이 제시한 2조원중 공액채권 변제금액 5천억원
정도를 빼면 실제 채권단이 챙길수 있는 돈은 1조5천억원에 불과해 금융조건
을 아무리 완화하더라도 손실이 불가피하다며 포철측이 인수금액을 더 높여야
한다고 지적해 귀추가 주목된다.

< 차병석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7월 3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