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부도 앞으로 계속될 것" 47% 응답..상의, 설문조사
절반에 달하는 등 재계가 부도공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30일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3백21개 주요 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기아
등 대기업부도사태에 따른 기업애로 실태" 조사결과에 따르면 전체의 47.5%가
앞으로 부실대기업의 부도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부실기업정리가 어느 정도 마무리 되면서 부도사태도 중단되리라는
응답은 전체의 2.7%에 불과, 대기업 부도에 따른 불안감이 재계에 만연돼
있음을 보여줬다.
나머지는 절반도 시장상태(36.1)나 정부의지(13.7%)에 따라 부도사태의
지속여부가 좌우될 것이라고 답해 유보적인 입장을 취했다.
재계 초미의 관심사가 되고있는 기아그룹의 처리방향에 대해서는 "자구노력
으로 회생시켜야 한다"는 의견(53.6%)이 가장 많았으며 "분할매각"(29.5%)
이나 "제3자인수"(15.3%)가 바람직하다는 응답도 모두 44.8%에 달했다.
그러나 법정관리를 해야한다는 답은 1.6%에 그쳤다.
또 기아 등 대기업 부도사태의 해결방안으로는 협력업체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 강화(39.3%)를 제시한 업체가 가장 많았고, 부실정리기구 기능 확대
(26.2%), 금융기관에 대한한국은행 특별융자지원(16.9%), 부도유예기간 연장
(17.5%) 등의 순이었다.
특히 협력업체에 대한 지원방안으로는 "진성어음할인 원활화"(45.9%)를
가장 많이 꼽았다.
조사대상 업체들은 금융권의 무리한 자금회수(25.1%)보다는 스스로 취약한
재무구조(55.2%)를 갖고 있는게 대기업 부도의 주요원인이라고 진단했다.
따라서 경영위기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중장기적으로 기업 구조를 합리적으로
조정(46.4%)하고 재무구조를 개선(43.2%)하는데 주력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
했다.
한편 재계에서는 대기업 부도가 미치게 될 영향으로 자금시장 경색(26.2%)
보다는 해외신용도 추락(36.6%)과 경기침체 장기화(30.1%)를 가장 크게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노혜령 기자>
(한국경제신문 1997년 7월 31일자).
-
기사 스크랩
-
공유
-
프린트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