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그룹 모체인 기아자동차가 심각한 경영위기에 직면한 데는 지난날의
파행적 노사관계가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노동부 산하 한국노동연구원(원장 박훤구)은 27일 "기아자동차 노사관계에
대한 정책적 검토"라는 제목의 연구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분석했다.

보고서는 지난 93년이후 강성노조집행부의 생산중단 위협등에 경영진이
무원칙적인 양보를 거듭, 최근 수년간 노조우위의 파행적 노사관계가
조성돼 왔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특히 노조의 단체협상을 통한 노사동수의 인사징계위원회 구성,
배치전환및 조합원교육에 대한 사전협의권 장악등으로 정상적인 경영이
어려웠다고 지적했다.

대등한 노사관계가 깨지고 경영이 노조에 의해 이끌려가는 기현상이
빚어졌다는 것이다.

노조의 실력행사사례는 여러가지가 있다.

<>대전지역 자동차판매회사 설립 반대 <>사내 케이블TV 방영 저지 <>생산
관리혁신 반발 <>기아자동차판매회사로의 배치전환 반대 등이다.

노동연구원은 또 기아노조내부에 다양한 활동계파조직들이 존재, 임단협교섭
등에 노노갈등이 빚어졌던 것도 경영에 악영향을 주었다고 주장했다.

민주화 활동가 조직과 향후회조직간의 갈등구조속에서 선명성경쟁이
벌어지고 이 과정에서 노조가 강성으로 흐르게 됐다는 것.

이와함께 87년이후 현장관리감독체계가 약화되고 작업장의 규율과 질서가
이완된 것도 경영에 나쁜 영향을 주었다고 덧붙였다.

연구원은 경영진의 잘못도 꼬집고 있다.

회사경영진이 노사관계개선을 위한 장기적 일관정책을 추구하기 보다는
문제봉합차원의 대책마련에 급급했다고 비판했다.

연구원은 그러나 선진국들의 경험으로 미뤄보아 노사가 함께 경영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불신을 씻고 참여와 협력의 노사관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구원은 노사관계를 개선하려면 경영진이 노조를 기업경영에 기여할 수
있는 책임있는 주체로서 존중하고 경영위기를 노조와 더불어 극복하고자
하는 참여주의적 경영원칙을 지켜야 한다고 지적했다.

노조도 집단이기주의에서 벗어나 회사살리기에 적극 나서는 한편 회사의
경영정상화 조치를 이해하고 적극 협력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구원은 현장관리감독체계도 혁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회사를 살릴 작정이라면 노조가 앞장서 작업장혁신운동을 벌이는 등
흐트러진 현장질서를 바로잡아야 한다는 것.

연구원은 관리감독체계도 지시 통제 위주에서 탈피, 근로자들이 창의력을
발휘하고 자발적으로 생산에 임하도록 참여주의적 현장체제로 바꿔야 한다고
충고했다.

이를 위해 80년대 중반이후 미국 유럽 자동차업체들이 추진해 오고 있는
팀작업체제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 김광현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7월 2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