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사태가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다.

부도유예협약 대상기업 선정이후 기아와 채권은행단간에 심한 이견을
보이던 기아사태는 기아그룹이 채권은행단의 요구를 대부분 수용하기로
내부방침을 정함에 따라 서서히 해결의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그동안 기아와 채권은행단간의 최대 이견은 경영진 진퇴문제와
아시아자동차의 처리문제.

채권단은 이번 사태의 돌파구를 현 경영진들의 경영포기와 기아자동차만
살아남는 것으로 설정한 반면 기아그룹은 현 경영체제를 유지하면서
기아자동차와 더불어 아시아자동차도 살리겠다는 입장을 계속 견지해 왔다.

따라서 기아그룹은 지난21일 제일은행에 처음 제출한 자구계획서를 통해
경영권 문제는 거론하지 않았으며 아시아자동차는 매각대신 광주공장
부지만을 팔겠다고 밝혔다.

이 자구계획서에 대해 채권은행단은 모임을 갖고 경영권 포기각서는 물론
아시아자동차 매각, 임원 50% 삭감, 계열사및 임원보유 주식 담보 등을
요구, 큰 의견차를 보였다.

이같은 이견에도 기아그룹이 채권은행단의 요구를 대부분 수용키로 내부
방침을 정한 것은 채권단의 요구를 들어주지 않을 경우 기아그룹의 부도
유예협약 적용을 결정할 30일 채권은행단 회의에서 자칫 3자 인수쪽으로
방향이 급선회할지도 모른다는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더욱이 채권은행단이 경영권 포기 각서를 요구하면서 이 각서가 현
경영진들의 즉각 퇴진은 아니라고 분명히 밝힌 것도 채권은행단의 요구를
받아들이게된 변수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기아그룹이 채권은행단의 요구를 대부분 받아들이기로 함에 따라 30일
채권단회의에서 기아그룹은 2개월간 부도유예 선고를 받을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김정호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7월 2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