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GM간 상호 차종교환생산은 양사 모두 해외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일수 있다는 측면에서 업계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김우중회장은 차종교환생산에 대한 기본적인 골격만 밝힌 정도여서 아직
대우-GM간의 협력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알수 없으나 대체로 두가지
방향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는 대우가 해외 개도국에 확보한 현지공장에서 GM차를 생산해주고
GM이 주요 선진국시장에서 대우차를 생산해주는 방법이다.

GM은 그동안 대우의 잇단 동유럽 공장 인수에 큰 관심을 보여왔다.

일부 지역에서는 GM이 대우와 경합을 벌였으나 공장 인수에 실패했다는
점도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대우는 개도국에는 웬만한 시설을 갖췄지만 선진국시장에서의 현지생산은
아직도 요원하다.

조금이라도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현지에서 대우차를 생산해
판매하는 방법이 좋지만 파트너를 물색하기도 쉽지 않다.

따라서 과거에 관계가 있었던데다 현재 부품쪽에서 깊은 관계를 맺고 있는
GM을 선택했을 가능성이 높다.

두번째는 한국시장과 미국시장의 상호 진출전략에서 찾을수 있다.

대우는 올해 처음으로 독자브랜드를 달고 미국시장에 진출한다.

GM도 그동안 인치케이프코리아를 통해 차를 팔던 방식을 벗어나 직판에
나서기로 결정했다.

따라서 서로 차종을 교환생산해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을 검토했을
가능성이 높다.

GM은 현재 한국시장에 판매망을 뚫기 위해 국내 대기업들과 협상중이다.

쌍용을 비롯해 선경 신호 등이 그 대상이다.

그러나 리처드 웨그너 GM부사장은 최근 간담회에서 "한국에서의 최종
목표는 현지 생산"이라고 밝히고 "한국시장에서는 생산과 판매업체를 각각
별도로 선정할 것"이라는 방침을 분명히 했다.

대우도 미국시장에 10만대 이상을 팔려면 현지생산체제를 갖추지 않을수
없다.

그러나 연간 30만대 이상의 판매는 불가능한만큼 경제규모에 미달하는
현지 생산체제의 구축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대우-GM간의 전략적 제휴는 어떤 형태로 결말 지어질 지 아직은
미지수지만 국내기업과 해외기업간 전략적 제휴에 새로운 유형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다.

< 군산=김정호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4월 22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