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기업들은 적어도 재무구조나 자금사정에 관계없는 악성소문과 관련
해서는 부도위기에서 벗어날수 있게 됐다.

은행들과 제2금융기관들이 가칭 "부실징후기업의 부도방지를 위한 협의체"를
구성, 이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계획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순수하게 자금부족이나 사업성 악화로 더 이상 생존이 불가능한
기업들외에 일시적인 자금난에 봉착한후 악성소문의 전파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들은 상당한 도움을 받은 전망이다.

구체적으론 최근 자금악화설과 부도위기설이 돌고 있는 진로그룹을 비롯 D,
N, H그룹 등이 구체적 시혜대상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금까지 구체적인 근거없이 단순한 소문만으로 제2금융권 등이 대출금연장
을 거부한채 만기어음을 교환에 회부, 이들중 몇몇 기업을 실제 부도위기에
몰렸기 때문이다.

그러나 은행들이 구성을 추진하고 있는 부도방치협의체가 실질적인 효력을
발휘할지는 아직 미지수다.

우선은 종금사 등 제2금융권이 은행들의 구상에 선뜻 찬성할지가 불분명
하다.

물론 종금사들도 무조건적인 기업부도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기는 하다.

그러나 종금사들은 주인이 없는 은행들과는 다르다.

또 대부분 여신을 신용으로 취급하고 있다.

따라서 각종 소문에 민감할 수밖에 없고 여신회수 등에도 은행에 비해서는
훨씬 적극적이다.

이런 사정을 감안하면 개별 종금사들이 총론적인 찬성에도 불구하고 개별적
인 찬성까지 할수 있을지가 최대 변수다.

아울러 은행들도 이같은 협약안에 전격적으로 동의, 같은 행동을 보일지는
의문이다.

실제 몇몇 은행의 경우 종금사에 못지 않을 정도로 일부 기업에 대한 여신
회수에 적극적이었다.

그러나 제1, 2금융기관장들이 이같은 협의체를 만들면 당장 부도위기설이
돌고 있는 진로그룹부터 기사회생의 계기를 마련할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만에 하나 진로 등 일부 기업이 잘못되는 경우 이같은 협의체가
구성되기 전보다 못한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도 전혀 배제할수 없다.

< 하영춘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4월 15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