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5년안에 물류단지를 이용할 의사가 있는 기업은 경기남부지역과
부산지역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국내기업은 전문적인 종합물류회사의 영업용 창고를 물류시설로 이용
하기보다는 여전히 자가소유창고를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제조업및 도소매업 1천5백개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기업물류시설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앞으로 지을 물류단지의 입지로는
응답지역의 19%가 경기남부지역을 꼽았고 <>부산 13% <>대전 10.8% <>대구
10.4% <>광주지역 9.3% 순으로 나타났다.

96년 현재 국내기업의 자가창고의 총면적은 1백44만평으로 전국창고면적
2백31만6천평의 62.2%로 물류전문회사가 운영하는 영업용창고(87만6천평)
보다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상의는 이같은 조사결과에 따라 유통단지의 입지선정이 지역별 균형배치가
이루어지도록 유도해야 하고 단순보관기능에 불과한 자가창고 대신 종합적인
물류전문업체의 영업창고와 중소기업의 물류공동화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주요 설문결과를 요약 정리한다.

<> 유통단지 개발규모 =유통단지개발의 평균규모는 대지면적 2만4천2백평,
시설연면적 1만2천3백평으로 집계되었다.

유통단지개발때 최우선 시설은 영업창고를 꼽았으며 다음으로 컨테이너
터미널 복합화물터미널인 것으로 나타났다.

<> 개발방식 =33.5%가 공영개발, 26.9%가 민관이 함께 참여하는 제3섹터
방식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류단지 입주방법은 분양과 임대가 비슷한 수준이었다.

공동물류단지 기능으로는 공동배송이 1위를 차지했으며 공동보관, 유통
물류정보처리순으로 나타났다.

<> 창고면적 =자가소유창고 면적은 대지면적이 1백44만평, 건물연면적이
82만평, 최대보관 능력은 1백47t으로 나타났다.

기존 영업용 창고면적 87만6천평과 자가소유창고 1백44만평을 합친 국내
창고의 대지면적은 2백41만6천평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인천지역이 48만평(21%)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경기지역
41만평, 부산지역 23만평순으로 나타났다.

<> 자가소유창고 규모 =국내자가창고의 시설당 평균규모는 대지면적의
4천8백39평, 건물연면적은 1천6백16평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업창고면적 5백86평보다 2.8배 넓은 수준이다.

한편 일본은 우리나라 영업창고의 11.5배인 6천5백56평으로 파악돼 국내
영업용 창고가 소규모 영세성을 벗어나지 못함을 보여 줬다.

이밖에 창고당 최대보관능력은 7천6백36t <>건물연면적당 최대보관 능력은
평당 4.4t <> 건물연면적당 연간처리실적은 평당 121.5t <>종사자 1인당
연간처리실적은 평당 6천1백30t으로 나타났다.

<> 유통경로 =물류센터 중심형태가 37.9%로 가장많고 <>도매점 중심형태가
37.6% <> 공장및 소매점직송 형태가 11.2% <> 소비자직송 형태가 8.8%
순으로 나타났다.

물류센터 경유 비중이 37.9%로 가장 많은 것은 물류시설 활용도가 높다는
얘기다.

<> 유통단지개발 장애요인 =여유부지가없어 부지구입이 어렵다는 것이
가장 큰 이유였으며 개발자금이 부족한 경우가 그 다음을 차지했다.

또 개발이후 적정이윤보장이 어렵고 용도지역 변경난과 행정규제가 주된
이유로 꼽혔다.

<> 물류단지 입주결정요인 =교통여건이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으로 선택
됐으며 두번째는 임대료 및 분양가등 경제적 여건과 생산지 및 소비지와의
거리가 중요한 결정요인이라고 답했다.

<> 정책시사점 =영업창고를 기존의 임차나 단순보관기능에서 종합적인
물류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또한 기업의 보관수요 변화를 고려해 자가창고와 영업창고를 적절히 활용할
수 있도록 영업물류기능을 강화해 필요이상으로 자가창고를 유지하는데
따르는 물류비용을 절감토록 해야할 것이다.

자가창고도 단독 보다는 공동으로 투자, 활용하는 물류공동화를 활성화해야
한다.

이러한 공동물류의 도입은 물류시설의 이용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지역별 균형배치도 중요한 과제다.

정부나 지방자치단체는 유통단지배치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 특정지역에
물류시설이 편중되거나 과다투자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래
지역별 물류시설수요를 심도있게 고려한 배치방안을 수립하여 물류시설
이용수요나 개발수요를 적절히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 안상욱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4월 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