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흥망이 은행부침을 좌우하고 있다.

경기사이클에 따라 은행간 순위도 달라지고 있는 것이다.

한보 충격을 계기로 은행산업의 부침이 새삼 부각되고 있다.

당장 건설업종을 보면 알수 있다.

국내 은행들은 76년부터 중동건설 붐이 일어나면서 건설업에 대한 대출을
확대했다.

은행중에선 조흥은행과 제일은행이 건설업에 대한 대출이 상대적으로 많은
편이었다.

건설업의 매출액 증가율은 82년 25.3% 83년 13.2%를 기록했다.

이같은 건설경기에 힘입어 제일은행은 상업 한일을 제치고 83년부터 연속
4년간 업무이익 1위를 나타냈다.

그러나 84년이후 건설경기가 가라앉으면서 제일은행의 업무이익은 87년부터
3년간 시중은행 3위로 떨어졌다.

건설경기는 89년부터 다시 회복되기 시작, 90년, 91년 큰 폭의 매출증가를
나타냈다.

그래서인지 90년엔 조흥은행이 1등은행으로 부상했다.

82년 이철희 장영자사건의 충격을 딛고 10년만에 우뚝선 것이다.

70년대 후반및 80년대 초반 일등은행이었던 상업은행도 건설업체인 한양에
무리하게 대출을 확대하면서 93년 드디어 발등을 찍혔다.

이 때문에 상업은행은 95년까지 대대적인 자구를 단행해야 했다.

건설경기는 95, 96년들어서도 제일은행을 비틀거리게 하고 서울은행(96년
건영 부도)을 적자은행으로 만들어버렸다.

반면 90년대들어 건설업종을 기피한 조흥은행은 리딩뱅크로 올려놓았다.

올들어선 철강경기가 변수다.

지난해부터 꺾이기 시작한 철강은 조흥 외환은행마저 코너로 몰아붙이고
있다.

이들 은행들은 92년을 제외하고 87년이후 10년동안 10%이상의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였던 철강업을 믿다가 결국 덜컥 물려버렸다.

그러나 이들 은행의 부침과는 달리 전 업종에 걸쳐 골고른 여신을 안고
있는 한일은행의 경우 큰 금융사고를 겪지 않는 등 대체로 안정적인 모습
이다.

< 이성태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1월 29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