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보그룹이 공중분해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시베리아 가스전 개발사업에
대한 우려가 높다.

지난해 한보측에서 자체 개발하겠다고 나서면서 여론의 높은 관심을 끌었던
탓에 시베리아 가스전 개발을 한보측의 사업으로 연결시키는 시각이 적지
않은 때문이다.

그러나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시베리아 가스전 개발사업은 한보그룹의 와해
여부와 관계없이 계속 진행된다.

당초 한보측이 시베리아 가스전 개발을 위한 자회사로 동아시아가스를
설립한 것은 지난해 2월.

이후 7월에는 통상산업부에 정식으로 개발계획을 신청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통산부는 이를 불허했다.

"16조원에 달하는 막대한 사업비가 소요되는 점등을 복합적으로 고려,
허가를 내주지 않는 것으로 결론내렸다"고 당시 한보측 계획의 타당성을
검토했던 통산부의 관계자는 전했다.

물론 정부의 이같은 결정에는 중복.과잉투자등의 부작용에 대한 걱정의
시각도 작용했다.

가스공사 고합등 7개사가 컨소시엄을 구성, 러시아에서 가스전 개발사업을
추진하는 와중에 한보측까지 또다른 가스전을 개발하겠다며 독립적으로
뛰어들 경우 러시아측과 협상에서도 불리해진다는 판단도 작용했다.

국익에도 별로 두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정부가 이같은 결정을 내리자 한보측은 4천만달러를 투입, 러시아 업체인
"루시아석유"의 지분 27.5%, 루시아석유 지분을 상당수 보유한 시단코사의
지분을 매입했다.

결국 가스전을 직접 개발하지 못하는 상황이라면 최대주주가 되는 형식으로
현지 회사를 사들여 가스를 들여오겠다는 포석이었다.

이 부분도 제약은 있었다.

러시아내 판매는 어떤 규제도 않겠지만 국내로 반입할 경우 이미 구성된
컨소시엄과 협의를 통하도록 했기 때문이다.

결국 통산부로서는 한보측의 시베리아 가스전 독자진출에 제동을 걺으로써
한보파문에 연루되는 사태를 모면하게 된 셈이다.

한보가 보유하고 있는 루시아석유사의 지분을 한보에너지의 법정관리나
제3자인수 등을 보아가며 결정할 방침이다.

<박기호기자>

(한국경제신문 1997년 1월 2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