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CC업체 가운데 절반인 4개사가 NCC건설을 선언함에 따라 90년대초에
이어 다시 한번 "NCC 투자붐"이 재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다음달께 구성될 예정인 유화업계 민간자율투자조정협의회
(민자협)가 출범초기부터 자율조정에 난항을 빚을 전망이다.

사실 현대가 지난 18일 제2NCC건설 계획을 공표하기 전까지만 해도 업계는
서로 타사의 눈치만을 보고 있는 상태였다.

금년부터 유화투자가 전면 자유화돼 업계가 자율적으로 투자여부를 협의할
민자협구성이 급선무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NCC증설을 추진중이란 소문이 떠돌던 업체들이 현대의 공식발표를
계기로 계획을 앞다퉈 공식화하고 나섰다.

민자협구성에 앞서 NCC증설추진을 "기정 사실화"하겠다는 속셈에서다.

이와 관련, 한 업계관계자는 "민자협이 언제 출범할 수 있을지 알수 없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점잖게" 기다리고 있다간 투자자유화의 "과실"을 남에게 뺏길지 모른다는
조바심 때문에 발표 일정을 당겼다는 설명이다.

이처럼 기정사실화된 NCC증설문제는 이제 민자협을 통해 업계 스스로
조정해야 되는 과제가 됐다.

그러나 민자협이 조정기능을 제대로 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회칙마련에 4개월이 걸린 민자협이 과연 개별기업의 투자를 "조정 협의"할
수 있겠느냐"(H사 L상무)는게 업계의 일반적인 시각이다.

민자협의 구성이 늦어지고 있는 것도 <>결의사항의 구속성 여부 <>위반사에
대한 제재방법등 핵심조항이 전혀 합의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는 점도
이같은 우려를 뒷받침하는 부분이다.

그러나 NCC건설에 나선 4개사가 모두 "민자협이 구성되면 이 문제를 상정해
회원사들과 협의를 하겠다"고 밝히고 있어 다음달중 민자협이 구성되는 것은
별 무리가 없어 보인다.

어느 업체도 민자협구성에 실패해 정부의 개입이라는 "최악의 상황"을
원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일부에서는 이들 4개사를 포함한 유화업체들이 민자협을 통해
"대타협"을 일궈낼 가능성도 있다고 점치고 있다.

완공시기를 시차가 나게 조정하거나 울산 여천 서산등 단지별로 컨소시엄을
구성, 공동NCC를 건설하는 방법이 조심스레 제시되고 있기도 하다.

통산부관계자도 이와 관련, "NCC건설 문제는 민자협에서의 결의사항을
존중할 것"이라며 "민자협에서 착공이나 완공시기를 조정해 공급과잉을
최소화하는 노력을 기울일 경우에는 통산부도 개입을 최소화할 방침"이라고
말해 이런 가능성에 높은 기대를 걸고 있다.

민자협이 제대로 구성돼 모종의 "대타협"을 이뤄낼지 아니면 다시 타율적인
조정을 "받게 될"지 주목된다.

< 권영설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4월 2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