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출연및 국공립연구소와 민간기업연구소들이 서울 인천 경기등 수도권
지역에 집중, 국내 연구개발자원및 능력의 지역불균형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이는 우수인력의 지방이탈을 초래하고 우수과학기술기반을 토대로 성장
해야하는 첨단산업의 수도권집중현상을 가속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이를 해소하기 위한 연구기반의 지역분산시책 마련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25일 과학기술정책관리연구소(STEPI)에 따르면 지난해말 현재 이공계
정부출연연구소 35개중 37.1%인 12개 연구소가 서울 인천 경기등 수도권
지역에 몰려 있으며 전남.북과 제주지역에는 1개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공립연구소는 전체 56개중 55.4%인 31개가 수도권지역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민간기업부설 연구소의 경우 전체 2천7백96개중 67.1%인 1천6백7개가
수도권지역에 밀집되어 있으며 경남.북을 포함한 5개지역에 국내민간
연구소의 79.7%가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연구개발기능을 비교적 체계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대기업연구소의
경우 59.6%가 수도권지역에 편중되어 있으며 경남.북을 포함한 상위
5개지역이 차지하는 비중은 77.0%에 달했다.

이에비해 호남 영동 제주지역에 분포된 민간기업연구소는 4.5%에 불과해
경제발전수준과 연구소수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민간기업연구소 연구개발(R&D)인력의 권역별 분포상황을 보면 전국
6만5백7명의 68.3%인 4만1천3백3명이 수도권지역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중 경기(35.7%)가 가장 많은 인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서울 인천 경남
대전등 상위 5개지역에 국내 민간연구개발인력의 85.5%가 몰려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 김재일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2월 2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