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설정한 올 총통화(M2) 증가율 목표범위(11.5~15.5%)는 경기의
연착륙이 가능토록 금융쪽에서 돈줄을 죄는 일은 없을 것이란 신호로 해석
된다.

특히 중소기업쪽으로의 자금 물꼬를 트는데 정책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는
의지를 강하게 담고 있다.

박철한은자금부장은 "물가상승률을 선진국수준으로 낮춰가기 위해 올해
M2증가율 목표를 작년(12~16%)보다 0.5%포인트 낮게 설정했다"고 밝혔다.

경제의 잠재성장률(7%선) 물가상승률 억제목표(4%대) 통화유통속도 하락률
(2%내외)등을 감안한 보수적인 결정이란 설명이다.

한은은 당초 올해 M2증가율을 11~15%선으로 잠정 결정했었다.

때문에 상한과 하한선을 각각 0.5%씩 높인 것은 엔저등 국제경제사정
변화로 인한 수출부진등 급격한 경기위축을 막기 위한 고육지책으로 풀이
되기도 한다.

물론 M2증가율 목표설정이 정부측과의 협의과정에서 전체적으로 0.5%포인트
높아졌다는 점에서 4월 총선을 의식한 것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0.5%포인트''의 차이는 경제논리와 정치논리의 접합점이라는 지적이다.

올해 M2를 ''11.5~15.5%''로 운용할 경우 연간 새로 공급되는 돈은 최소
17조원에서 최고 23조원에 이른다.

그러나 분기별 월별로는 계절적 자금수급요인과 금리.환율동향등을
고려하여 신축적으로 운용한다는 생각이다.

우선 총선을 앞둔 1.4분기(1~3월)중에는 <>정부의 재정자금 조기집행계획
<>연지급수입기간 연장에 따른 단기외자유입 증대등을 감안해 M2증가율을
연간목표 범위보다도 높은 16%선에서 운용키로 했다.

이 경우 새로 풀리는 돈은 4조6천억원에 이른다.

통상 정부부문이나 해외부문에서 통화가 터지면 국내 민간신용을 억제,
곧바로 중소기업의 자금사정 악화로 이어졌다.

그러나 앞으로는 통화가 일부 터지더라도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을 계속
하겠다는 뜻이다.

문제는 물가다.

한은의 다소 여유있는 통화목표설정이나 중소기업 지원방향은 모두 물가
안정을 전제로 한다.

때문에 물가가 목표치를 넘어설 경우 통화관리는 다시 ''긴축''으로 돌아설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1월 6일자).